광주대학교대학원
석사과정
광주대학교대학원
박사과정
광주대학교대학원
계약학과
- 석사과정
- 도시재생학과
- 박사과정
관광경영학과
- 학위수여명칭 : 관광학석사
- 주임교수명 : 김정훈
- 학위수여 가능전공 : 관광경영
- 연구실 : 062-670-2371
교육목표
관광경영학과는 관광비즈니스 전문경영인, 관광연구 전문인력, 관광학계 교육자, 지역관광 전문인력 등의 창의적 관광전문인력 양성을 교육의 궁극적 목표로 한다.
이와 같은 관광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관광산업체의 경영 전반에 대한 관광이론 탐구와 실무분석능력 배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하였다. 또한 국내ㆍ외의 관광관련 선행연구와 현황을 분석하고, 창의적이고 실천적인 리더십교육을 병행한다.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관광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21세기 성장동력산업의 하나이다.
더불어 국가이미지 제고 및 지속가능한 녹색산업으로 문화유산과 생태계 보전에도 이바지하고 있다. 이러한 관광산업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전세계 각 국가는 관광산업을 가장 중요한 국책산업으로 진흥시키고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관광경영학 교육과정은 학계 및 관광산업 전 분야에서 요구하는
관광전문인 양성에 중심을 두고 있다. 졸업 후에는 여행업, 관광숙박업(호텔/리조트 등), 이벤트, 외식, 항공업, 국제회의업, 관광객이용시설업, 관광편의시설업, 관광컨설팅, 관광공사 및 관광관련 공무원, 관광연구원, 교수 등 다양한 방면으로 진출 가능하다.
교과과정
번호 | 교과과목명 | 교과목 개요 | 학점 | 시간 | |
---|---|---|---|---|---|
국문명 | 영문명 | ||||
1 | 관광사업 경영세미나 | Seminar in Tourism Business | 관광사업 전반의 경영방법론을 제시하고 관광경영분야의 주요이론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실제적인 연구를 한다. | 3 | 3 |
2 | 관광과문화연구 | Tourism and Culture |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한국 관광의 현황분석과 지속가능한 문화관광을 위한 체계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3 | 3 |
3 | 관광정책세미나 | Seminar in Tourism Policy | 관광정책의 기본이념과 목적·정책수립과정 및 집행과 평가에 관하여 고찰하고, 국내 및 외국의 관광정책을 사례분석을 통하여 연구한다. | 3 | 3 |
4 | 관광계획개발론 | Tourism Planning & Development | 관광계획 및 개발에 관한 계획논리 및 계획과정론을 중심으로 하여 합리적인 사업계획 및 개발계획 수립방법을 연구한다. | 3 | 3 |
5 | 관광마케팅 | Tourism Marketing | 관광지 및 관광관련 산업 전반에 대한 실증적 마케팅조사방법론을 연구한다. | 3 | 3 |
6 | 여행업경영특강 | Travel Agency Management | 여행업 경영관리와 이에 관련된 거시적·미시적 환경과의 상호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여행업의 합리적 경영방법과 이에 따른 다방면의 이론적 접근 방법을 연구한다. | 3 | 3 |
7 | 관광상품기획론 | Planning of Tourism Products | 관광상품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연구를 통하여 관광상품 개발과정 및 기획 전반에 대한 내용을 연구한다. | 3 | 3 |
8 | 관광통계연구 | Tourism Statistics Analysis | 관광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통계분석방법 연구를 통하여 관광자, 관광산업, 관광개발 등에 관련된 통계처리 절차 및 적용에 관하여 연구한다. | 3 | 3 |
9 | 관광자행동론특강 | Behavioral Science of Tourism | 관광의 주체인 관광객의 구매 행동원리를 학습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다. 관광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요인과, 관광객의 행동을 과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에 대응하는 대책 수립능력을 배양한다. | 3 | 3 |
10 | 관광프로젝트 관리 | Tourism Project Management | 관광관련 산업 및 지역관광개발 등의 관관 전반의 사업계획과 실시절차에 관한 관리방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 3 | 3 |
11 | 관광과역사 | Tourism and History | 한국관광의 발전사를 조명해보고, 시대별 분석을 통해 그 의의와 시사점을 도출하여 역사학적 관점에서 관광의 미래를 예측한다. | 3 | 3 |
12 | 중국관광연구 | Study on Tourism of China | 중국관광에 대한 실증분석과, 인바운드 중국관광 및 아웃바운드 중국관광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연구를 한다. | 3 | 3 |
13 | 호텔경영연구 | Study on hotel Management | 호텔경영의 이론과 실무에 대해 다양하게 접근하여 호텔 창업, 호텔상품 개발, 호텔 마케팅 등 호텔경영 전반에 대하여 연구한다. | 3 | 3 |
14 | 리조트경영세미나 | Seminar on Resort Management | 리조트사업의 국내・외 경영 방법론을 이론과 사업의 각 분야별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분석 접근한다. | 3 | 3 |
15 | 관광기업인사관리론 | Seminar on HRM in Tourism |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관광산업체의 인적자원관리 전략에 대하여 연구한다. | 3 | 3 |
16 | 국제회의산업특강 | Seminar on Convention Operation | 국제회의 기획과 실무적 차원의 이벤트 개최, 적합성 분석, 마케팅 관리 등 국제회의 운영에 필요한 이론과 실무를 연구한다. | 3 | 3 |
17 | 웨딩ㆍ이벤트산업경영론 | Wedding and Event Management | 웨딩산업 및 국내외의 다양한 이벤트에 대하여 이론과 실무를 연구한다. | 3 | 3 |
18 | 관광과여가 | Tourism and Leisure | 관광산업 발전에 따른 여가문화 및 여가산업 전반에 대한 고찰을 통해 관광과 여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 3 | 3 |
19 | 의료관광 | Health Care Tourism | 국내외 의료서비스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하여 거시적 차원의 연구을 진행한다. | 3 | 3 |
20 | 항공산업론 | Travel and Aviation Business | 항공산업 전반에 관한 이론을 탐구하여 실무적 차원의 항공산업비즈니스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