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실용적 전문지식을 위한 광주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보건상담정책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학과소개 > 일반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 인쇄

광주대학교대학원

계약학과

  • 박사과정

신문방송학과

학위수여명칭 : 언론학석사
주임교수명 : 윤석년
학위수여 가능전공 : 신문방송
연구실 : 062-670-2290
교육목표

신문방송학의 대상은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나는 모든 분야이다.
전통적 매체인 신문, 공중파 방송과 케이블방송 그리고 새매체인 위성방송, 인터넷을 아우르는 동시에, 매스미디어를 통해 일어나고 재생산되는 대중문화 일반의 현상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신문방송학과는 이러한 광범위한 영역에 대해 개별적이면서도 상호 연계적인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식체계를 구축하여, 미래지향적이고, 건전한 신문방송인을 배출하고자 한다.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본 전공은 체계적으로 교육받은 신문방송인을 양성하기 위해 과학적 커리큘럼과 실력 있는 교수, 강사의 채용으로 체계적인 교육체계를 마련하고 졸업생들을 현업 언론인과 방송종사자로 배출하여 사회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려 한다.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언론학 통론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다양한 이론적 기반을 만들고 기사작성실습, 영상제작실습, 광고학 원론 등 실제적인 실용학문을 배움으로서 현대 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에 심도 있게 접근, 분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한 틀을 제공하고 있다.

교과과정
교과과정(1)
번호 교과과목명 교과목 개요 학점 시간
국문명 영문명
1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사회조사방법을 주로 하여 경험적 자료를 분석하고 평가한다. 3 3
2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Theories of Mass Communication 사회과학의 독립된 학문영역으로서 커뮤니케이션이론을 정립하기 위해 주요 이론을 검토한다. 3 3
3 방송론 Theory of Broadcasting 방송의 제반영역에 대한 일반이론을 토의 분석한다. 3 3
4 저널리즘 이론 Theory of Journalism 신문에 관한 일반이론을 토의 분석한다. 3 3
5 문화연구 Cultural Studies 문화와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연구 방법 등을 다룬다. 3 3
6 매체심리학 Media Psychology 커뮤니케이션과 지각, 기억, 사고 및 태도의 상관관계를 심층 분석한다 3 3
7 매체정책론 Media Politics 현대 매스미디어 정책의 결정과정과 구조를 참조하여 바람직한 미디어정책을 모색한다. 3 3
8 대중문화이론 Theory of Mass Culture 대중문화와 대중매체와의 상호작용관계를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입각해서 토의, 분석한다 3 3
9 방송경영론 Management of Broadcasting 방송경영과 경영자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방송 상품의 경제적 사회적 특성과 관련하여 이해한다. 3 3
10 정보사회와 미디어 Information Society and Media 새로운 정보통신기술과 사회변동의 문제에 관한 기존의 여러 이론적 논의를 비교 분석한다. 3 3
11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이론
Cybercommunication 인터넷을 중심으로 새로운 미디어 공간이 생성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영역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3 3
12 영상매체연구 Study of Multimedia 영상미디어가 지닌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역할과 기능 그리고 그것이 지닌 의미에 관해서 논의한다. 3 3
13 커뮤니케이션 통계분석론 Statistic Analysis in Communication 커뮤니케이션학에 필요한 각종 통계기법에 숙달하고, 이것을 통해 입증하고자 하는 연구문제와 가설설정과의 관계 등을 검토한다. 3 3
14 국제커뮤니케이션 이론 International Communication 국가개념을 기본단위로 국제사회에 존속하는 커뮤니케이션현상을 상호작용분석 차원에서 분석한다. 3 3
15 설득커뮤니케이션 이론 Persuasion in Communication 설득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여러 이론을 체계적으로 분석, 비판한다. 3 3
16 방송윤리법제연구 Ethics, Law and Institution of Broadcasting 방송관계 법률과 방송인으로서 지켜야할 윤리적인 규범 등에 관해서 토의 검토한다. 3 3
17 미디어 비평론 Critics of Media 미디어 텍스트에 관한 장르비평, 서사이론, 이데올로기적 비평 등 실제적인 비평작업을 한다. 3 3
18 정치커뮤니케이션 이론 Political Communication Theory 정치체계와 커뮤니케이션 체계와의 상호작용을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입각하여 분석한다. 3 3
19 커뮤니케이션 사상사 Philosophy of Communication 동서양에 있어서의 언론과 관련된 사상, 철학, 그리고 원리들을 역사적 차원에서 심층 분석한다. 3 3
20 위험 커뮤니케이션 Risk Communication 위험이라는 요인이 미디어에 의해 어떻게 재구성되는지를 모색한다. 3 3
21 공공커뮤니케이션 캠페인 Public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최근의 커뮤니케이션이론 및 사회심리이론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미디어 캠페인 전략을 심층 분석한다. 3 3
22 미디어 생태학 Media Ecology 미디어를 둘러싼 환경의 변화를 검토하고 미래사회에 적합한 미디어 조직을 연구 검토한다. 3 3
23 미디어 경제학 Media Economics 사회적 기구로서의 언론에 관한 여러 현상을 경제적인 시각으로 접근하여 분석한다. 3 3
24 언론사 Communication History 언론 및 언론매체의 발달과 그들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배경과의 관계, 그리고 역사적으로 본 역할과 기능을 심층 분석한다. 3 3
25 지역언론연구 Study of Regional Press 지역 언론의 현황과 실태를 심층 분석한다.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