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실용적 전문지식을 위한 광주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보건상담정책대학원

컴퓨터공학과

  • 학과소개 > 일반대학원
  • 컴퓨터공학과
  • 인쇄

광주대학교대학원

계약학과

  • 박사과정

컴퓨터공학과

학위수여명칭 : 공학석사
주임교수명 : 임철홍
학위수여 가능전공 : 컴퓨터
연구실 : 062-670-2390
교육목표

컴퓨터공학 전공에서는 다가오는 유비쿼터스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인 인터넷 기반 응용소프트웨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임베디드 소프트에어 분야의 폭 넓은 이해와 탐구를 바탕으로 멀티미디어 정보의 효율적인 처리와 관리를 담당할 소프트웨어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개발하고 관리할 수 있는 고급의 정보처리 전문인력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전공 분야는 인터넷 기반 응용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응용, 멀티미디어 컨텐츠,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특히, 현장 적응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신기술 도입 교과목을 확대, 실험실습시설을 갖추고 있다. 현재 갖추고 있는 실험실습실은 시스템실(서버 7대) 시스템관리실, 실험실 및 실습실 그리고 프로젝트 실습실 등이 있다. 석사과정을 이수한 후 대학원 박사 과정에 진학할 수 있으며, 정부투자 연구기관 및 기업의 부설 연구소, 각 기업체 및 컴퓨터, 인터넷 관련 회사에 입사하여 소프트웨어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개발 및 관리를 위한 고급 정보처리전문가로서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2/4년제 대학의 교수로도 진출할 수 있다.

교과과정
교과과정(1)
번호 교과과목명 교과목 개요 학점 시간
국문명 영문명
1 소프트웨어
프로젝트관리론
Theory of Software Project Management 소프트웨어 개발 시 현대적인 기법을 적용하여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부한다. 즉, 소프트웨어 개발에 요구되는 기술적인 기본지식 및 실제 구축 시 필요한 단계별 절차와 고려사항 그리고 응용 목적에 따른 개발 방법에 대해서 심도 있게 고찰한다. 3 3
2 컴포넌트기반
소프트웨어공학
Component-Based Software Engineering 소프트웨어를 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은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 또한 생산성 측면에서 재사용이 화두가 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하고 있는 것이 컴포넌트 소프트웨어이다. 따라서 본 과목은 CBD 방법론을 다룬다. 즉, 등장 배경에서부터 CBD방법론들의 특징, CBD 공정들에 대해서 배우고 익힌다. 3 3
3 소프트웨어
품질관리론
Theory of Software Quality Management 세계 각국은 국제품질 시스템 표준인 ISO9000 시리즈를 채택하고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 또한 인증 취득 없이는 국내외시장에서 경쟁하기 어려운 상황이 전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와 상황에 슬기롭게 대처해야 한다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해 소프트웨어 개발 시 ISO9000시리즈를 중심으로 표준화 과정을 배우고 읽힌다. 3 3
4 데이터베이스 특론 Special Topics in Database 파일구조, 질의어처리, 트랜젝션 처리, 동시 제어, 회복기법에 대한 원리를 중점적으로 공부한다. 이외에 고급 데이터 타입과 고급 트랜젝션 처리기법 등이다. 3 3
5 데이터웨어하우징 Data Warehousing 현대의 기업환경은 불가피한 의사결정지원 해결을 위한 data warehouse 계획, 설계, 구축, 적제 그리고 성공적인 유지에 관해 연구한다. 3 3
6 테이터베이스
설계와 개발
Database Design and Development Database Environment IoC, runtime framework등을 심도있게 다루고 최근 데이터베이스 응용기술을 연구한다. 3 3
7 컴퓨터그래픽스 Computer Graphics -직선,원,다각형등과 같은 기본도형을 다룬다.
-물체의 모델링
-죄표변환, 시각변환등의 변환과정
-빛의 반사모델, 그림자, 텍스처등을 다룬다.
3 3
8 컴퓨터알고리즘 Computer Algorithm -기본적인 정렬,탐색, 자료구조등을 다룬다.
-데이터 압축 및 기하학적인 도형에서 나타나는 알고리즘을 다룬다.
-그래프, 알고리즘, NP-완전문제등을 다룬다.
3 3
9 게임프로그래밍 Game Programming 컴퓨터 게임을 만드는데 필요한 프로그래밍기법 및 관련이론을 다룬다. 3 3
10 운영체제 특론 Special Topics in Operating Systems 유닉스 시스템 상의 프로그래머들이 그들의 프로그램이 시스템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에 대해 더 깊은 이해를 통해서 좀 더 효율적이고 세련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도록 유닉스 시스템 개용에서부터 유닉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버구축,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한 기술을 배양한다. 3 3
11 임베디드시스템
특론
Special Topics in Embedded System 1.프로세서, 메모리,버스,입출력장치를 포함한 하드웨어 구성요소
2.디바이스 드라이버와 운영체제를 포함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3.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정리된 응용가능한 표준
4. 어셈블리어 및 C와 자바와 같은 고급언어의 사용법
5. 다양한 분야에서의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사례 등의 학습을 통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의 활용능력을 배양한다.
3 3
12 객체지향시스템 Object Oriented Systems 소프트웨어 계획,규모,기간 및 비용예측을 통하여 성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요소들을 고찰하고, 분석 및 설계 단계에서는 구조적, 객체지향적, 컴포넌트 기반의 분석 방법을 공부하며 소프트웨어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테스팅, 품질 보증에 대한 기술과 도구들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3 3
13 임베디드시스템
프로그래밍
Embedded System Programming 본 교과목에서는 ①임베디드 시스템에 대한 기본정의, 현황 및 향후 전망,②임베디드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하드웨어, 움영체제 및 개발환경,③XScale 기반 실습환경에서 프로그래밍 기법,④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제작 기술,⑤SE기법을 사용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을 설계하는 과정,⑥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달성한다. 3 3
14 멀티미디어시스템
특론
Special Topics in Multimedia Systems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구성과 데이터 처리를 위한 표준화 동향을 조사하고 표준화 기술을 실습한다. 3 3
15 웹 특론 Special Topics in Web 차세대 웹 동향과 기술을 안내하고 웹 특성과 웹 인터페이스등을 연구한다 3 3
16 웹 기반 교육 Web-Based instruction 웹(World Wide Web:WWW)의 특성과 이를 활용하는 학습 환경 창출에 있어, 웹 활용 교육(Web-Based Instruction : WBI)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과 관련된 내용과 논점 등에 대해 알아본 후 학습주제를 선택하여 WBI를 제작한다. 3 3
17 유비쿼터스컴퓨팅 Ubiquitous Computing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HW, SW, 서비스등 기반기술 대해 공부하고, 현재 구축되어 활용되고 있는 내용들을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하면서 동향과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3 3
18 컴퓨터네트워크 Computer Network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프로토콜, routing, 알고리즘, 전송 계통의 주요 장치인 전송로 및 신호 변환 장치의 기능 및 특성, 처리계의 전송계의 상호관계, 데이터 전달시 발생하는 에러복구 방법 등을 논한다 3 3
19 인공지능특론 Special Topics in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기본개념 및 메커니즘 표현방식 및 문제 처리기법들에 대해 공부한다.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