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실용적 전문지식을 위한 광주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보건상담정책대학원

정보보안학과

  • 학과소개 > 일반대학원
  • 정보보안학과
  • 인쇄

광주대학교대학원

계약학과

  • 박사과정

정보보안학과

학위수여명칭 : 정보보안학석사
주임교수명 : 전웅렬
학위수여 가능전공 : 정보보안
연구실 : 062-670-2438
교육목표

  정보보안학 전공에서는 안전한 사이버사회 실현을 위해 필요한 컴퓨터,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등 기반 IT 기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암호학, 네트워크보안, 시스템보안, 해킹, 포렌식 등과 같은 정보보안 전문 지식을 탐구하고 연구함으로써, 정보보안 고급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DDoS와 같은 해킹 및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급증함에 따라 정보보안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인력 수요는 과거 정부기관 및 정보보안 전문업체에 국한되었지만 최근에는 금융기관과 일반 기업체에서도 정보보안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이버보안경찰학 전공에서는 해킹 탐지 및 정보보안 솔루션 개발 등을 위한 정보보안 전문가 및 사이버범죄의 수사와 예방을 위한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차별화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이수한 후 박사과정에 진학하여 보다 깊이있는 연구를 진행할 수 있고, 사이버수사대 특채, 인터넷진흥원(KISA), 국가정보원, 사이버수사대 등 정보보안관련 국가기관에서 근무하거나 금융기관, 정보보안업체, 일반 IT 업체 등에서 근무할 수 있어 진출 분야가 매우 폭넓은 장점이 있다.

교과과정
교과과정(1)
번호 교과과목명 교과목 개요 학점 시간
국문명 영문명
1 정보보안특론 I Special Topics inInformation Security I 정보보안에 필요한 비밀키, 공개키, 전자서명, 프로토콜 등 암호이론에 대해 연구한다. 3 3
2 정보보안특론 II Special Topics inInformation Security I 정보보안 기술을 바탕으로 보안메일, 보안 통신, 멀티미디어 보안 등 각종 응용 보안 기술에 대해 연구한다. 3 3
3 데이터통신 Data Communications 본 과목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각종 프로토콜과 이를 구현한 각종 네트웨어(Netware)들에 대해 연구한다. 3 3
4 정수론 Number Theory 유클리드 호제법부터 합동식, 유한체, 이차잉여 등 현대 암호학의 이론적 기반이 되는 정수론의 개념들을 학습한다. 3 3
5 정보보안세미나 Information Security Seminar 정보보안의 핵심 기술인 암호와 구현을 위한 핵심 개념인 접근제어, 실제로 구현하는 기술인 프로토콜 등 기초 정보보안 기술에 대한 세미나를 진행한다. 3 3
6 디지털포렌식특론 Special Topics in Digital Forensics 디지털 증거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디지털포렌식에 대한 입문 교과목으로서 디지털포렌식 실무를 학습하기 위한 기초 교과목이다. 3 3
7 데이터베이스설계 Database Design 데이터베이스는 최근 각종 정보시스템의 필수 요소로서, 본 과목에서는 실무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운영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한다. 3 3
8 데이터베이스보안 Database Security 데이터베이스 계정, 권한, 역할 및 접속 설정 등 기초 보안 설정과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등 데이터베이스 보안에 필요한 실무 지식을 습득한다. 3 3
9 보안프로토콜 Cryptographic Protocols 2-party, 3-party 인증 등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되고 있는 보안 프로토콜의 구성 원리와 암호 알고리즘의 효율적인 적용방안에 대해 학습한다. 3 3
10 윈도우프로그래밍 Windows Programming C++언어와 윈도우를 활용하여 이벤트중심 프로그래밍 능력을 함양하고 이를 통해 문제해결 능력을 높인다. 3 3
11 네트워크보안 Network Security 대부분의 정보시스템은 네트워크 접속을 필요로 하지만, 네트워크 접속은 보안 측면에서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각종 보안 대책을 철저히 수립할 필요가 있다. 3 3
12 컴퓨터보안 Computer Security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운영체제, 네트워크 시스템 등은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개별 시스템에 대한 보안도 중요하지만 전체 시스템 관점에서 보안 정책을 수립하고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3 3
13 침입탐지 및 차단 Intrusion Detection & Prevention 시스템 및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다양한 공격기법과 공격을 탐지하고 방어하기 위한 암호학적 기술들을 학습한다. 3 3
14 해킹보안기술 I Hacking & Security Techniques I 최근 해킹 사례는 요구되는 지식 수준은 낮아지는 반면 그 피해 규모는 급증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기본적인 해킹의 원리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PC 관리에 대해 다룬다. 3 3
15 해킹보안기술 II Hacking & Security Techniques II 스피어피싱과 같은 정교한 해킹 기법 등을 소개하고 침입탐지/방지 시스템의 한계 및 향후 기술적 대응 방안 등에 대해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한다. 3 3
16 안전성평가 Security Evaluation 시스템의 안전성 평가에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공통평가기준을 통해 시스템의 보안성 평가 방안, 기준, 그리고 평가방법을 학습한다. 3 3
17 고급운영체제 Advanced Operating Systems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인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시스템 관리에 대해 심화학습을 진행한다. 3 3
18 운영체제보안 Operating System Security 리눅스를 중심으로 운영체제의 설치부터 각종 보안 설정과 함께 실제 해킹 사례에 대한 대처 방안 등에 대해 다룬다. 3 3
19 모바일보안 Mobile Security 안드로이드 및 iOS를 중심으로 각 운영체제의 특징, 제공하는 보안기능 및 보안 취약성과 대응방법을 학습한다. 3 3
20 파일시스템특론 Special Topics in File Systems 각종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파일시스템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디지털포렌식의 기초인 파일복구와 키워드에 의한 자료 검색 등을 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을 습득한다.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