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대학교대학원
석사과정
광주대학교대학원
박사과정
광주대학교대학원
계약학과
- 석사과정
- 도시재생학과
- 박사과정
건축학과
- 학위수여명칭 : 건축학석사
- 주임교수명 : 오성헌
- 학위수여 가능전공 : 건축
- 연구실 : 062-670-2798
교육목표
건축과 관련한 디자인, 문화, 사회, 기술 등에 대한 전문 이론과 응용방법을 기반으로 건축학을 연구함으로써 건축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창조적이면서 전문적인 건축인을 양성한다.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연구분야는 건축계획 및 설계분야 : 건물유형별 건축계획 및 설계, 건축설계교육프로그램, 건축가의 역할, 건축의장 및 조형심리, 건축색채 등 / 건축사분야 : 동서양의 건축사, 건축이론 및 비평, 현대 건축의 역사, 이론 및 비평, 건축이론의 역사 등/건축재료 맟 시공분야 : 공사 관리 기법 연구,C.M과 P.M, 건축물 유지관리 방법, 고강도 콘크리트의 제조 및 실용화,건축용 신소재 개발 등/건축구조공학분야 :구조재료의 특성 및 개발, 구조부재의 역학적 거동, 구조설계, 내진설계 철학 및 구조요소의 거동 등이 있다. 졸업 후 대학원 박사과정에 진학할 수 있으며 설계사무소, 디자인 관련 회사, 건설회 사, 교육 및 연구기관, 그리고 관공서등에서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다
교과과정
번호 | 교과과목명 | 교과목 개요 | 학점 | 시간 | |
---|---|---|---|---|---|
국문명 | 영문명 | ||||
1 | 건축계획론 | Advanced Architectural Planning | 주거시설, 상업시설, 문화시설 등 각종 건축시설에 대한 최근 건축경향, 주요 사례, 주요 연구동향를 통한 미래 지향하는 건축방향과 건축계획내용에 대한 연구 | 3 | 3 |
2 | 한국건축사특론 | Advanced Theory of Korean Architecture | 우리나라의 전통건축의 공간적, 조형적 특성을 연구한다. 특히 시대적 배경과 관련하여 전통건축의 생성과 변화의 요인을 이해하도록 한다. | 3 | 3 |
3 | 현대건축사조론 | Advanced Theory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 20세기 후반부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최근 건축의 다양한 흐름을 파악하고 그 주요 건축가와 작품, 그 이념과 사상을 분석하고 보다 나은 설계의 토대를 연마한다. | 3 | 3 |
4 | 건축론(1) | Topics on Architectural Theory(1) | 건축의 기본적인 철학과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공간의 보편적 원리를 탐구한다. | 3 | 3 |
5 | 건축의장론 | Advanced Studies on Architectural Design Principles | 건축디자인의 패러다임 및 디자인 요소와 원리를 이해 | 3 | 3 |
6 | 건축계획연구 방법론 | Architectural Planning Method | 사업의 타당성조사, 건축기획, 건축계획, 건축설계 등 일련의 건축설계 생성과정을 이해하고 이의 대표적 사례를 분석연구 | 3 | 3 |
7 | 서양건축연구 | Advanced Studies on Western Architecture | 서양건축의 기본적인 모티브와 타이폴로지를 파악하고 고대에서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 서양건축에서 형태 및 공간개념의 발전을 이해한다. | 3 | 3 |
8 | 건축론(2) | Topics on Architectural Theory(2) | Louis I. Kahn frank , Frank Lloyd Wright, Le Corbusier 등 20세기 거장들의 건축론에 대한 연구 | 3 | 3 |
9 | 동양건축사특론 | Advanced Theories and History of Oriental Architecture | 우리나라와 동일한 건축문화권에 속하는 중국과 일본 건축의 고찰을 통하여 동북아시아 3국 건축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이해하도록 하다. | 3 | 3 |
10 | 고급문화건축설계 | Advanced Design Studio of Cultural Facilities | 박물관/미술관, 공연장 등 문화시설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토대로 건축개념을 정립하고 실무적 차원에서 설계 | 3 | 3 |
11 | 고급상업건축설계 | Advanced Design Studio of Commercial Facilities | 도심 사이트의 경제적, 법적, 도시적, 환경적 특성을 분석검토하여 도심구조에 어울리는 공공적 성격을 띤 상업건축물에 대한 계획 및 설계, 모형, 패널, 프리젠테이션 등 일련의 설계과정을 진행 | 3 | 3 |
12 | 고급종교건축설계 | Advanced Design Studio of Religious Facilities | 도심형 사찰, 성당, 교회 등의 종교건축계획에 관한 다양한 이론과 디자인 과정을 익히고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하여 설계조건의 설정 및 분석, 건축공간의 창조 및 결정, 건축공간의 전달 및 표현 등을 학습한다. | 3 | 3 |
13 | 고급주거건축설계 | Advanced Design Studio of Residential Facilities | 새로운 주거 유형을 설정하고 이를 실무적인 차원에서 설계 | 3 | 3 |
14 | 고급교육건축설계 | Advanced Design Studio of Educational Facilities | 교육시설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토대로 계획/ 기본설계를 하고 이에 대한 실무적 차원에서 분석 | 3 | 3 |
15 | 철근콘크리트구조 |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 콘크리트 부재 및 구조시스템의 거동을 이해하며, 이를 예측할 수 있는 기본이론을 습득한다. | 3 | 3 |
16 | 철골구조 | Steel Structures | 철골부재 및 구조시스템의 거동을 이해하며, 이를 예측할 수 있는 기본이론을 습득한다. | 3 | 3 |
17 | 초고층건물구조 | High-rise Building Structures | 초고층 건물을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시스템과 횡변위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시스템의 작용원리를 습득한다 | 3 | 3 |
18 | 고급구조역학 | Advanced Structural Mechanics | 기본 탄성이론을 습득하여 다양한 정적하중하의 구조요소 및 전체구조물의 거동을 정의한다. | 3 | 3 |
19 | 건축구법특론 | Advance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 건축물의 지지요소, 공간의 구획요소, 건축물의 마감요소, 설비, 가구 및 생산관련요소 등을 가지고 종합적인 시각으로 공간을 실현시킨다. | 3 | 3 |
20 | 건축리모델링연구 | Building Remodeling Techniques | 건축물 리모델링의 의미와 유형, 파급효과 및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여 건물성능개선 과정을 거침으로써 건축물의 가치를 높인다. | 3 | 3 |
21 | 건축속의 공학 | Engineering in Architecture | 건축재료의 발닥과 시공 및 관리 기술의 진전을 이해 | 3 | 3 |
22 | 공간과 인간공학 | Space and Ergonomics | 공간디자인을 위한 인간공학의 역할을 규명 | 3 | 3 |
23 | 친환경 건축론 | Advanced Green Building Design Theory | 친환경 건축의 배경을 이해하고 친환경 건축디자인 이론을 습득 | 3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