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대학교대학원
석사과정
광주대학교대학원
박사과정
광주대학교대학원
계약학과
- 석사과정
- 도시재생학과
- 박사과정
사진학과
- 학위수여명칭 : 사진학석사
- 주임교수명 : 조대연
- 학위수여 가능전공 : 사진
- 연구실 : 062-670-2670
교육목표
오늘날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사진이미지의 중요성은 나날이 높아가고 있으며 이제 높은 부가가치를 지닌 문화의 핵심 컨텐츠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문화 중심 시대에 맞는 영상학을 수용하고 다가오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전문가로서의 자질과 실력을 기르며 시대를 선도해 나갈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교육의 목표가 있다.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대학원에서의 사진학은 기록,매체,예술, 광고 등 전공에 따른 심화된 교과 과정을 통하여 사진 이론 및 실기의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한 교육을 하게된다. 이미지 커뮤니케이션, 미학 등 현대 사진의 이론에 맞는 폭넓은 수업으로 이론을 겸비한 창의적인 예술가로서의 꿈을 키워나가게 된다.
교과과정
번호 | 교과과목명 | 교과목 개요 | 학점 | 비고 | |
---|---|---|---|---|---|
국문명 | 영문명 | ||||
1 | 사진사연구 | Study on history of photography | 세계와 국내의 사진역사를 사회사와 미술학사의 관점으로 접근함으로서 자신의 사관을 정립하고 사진의 미래를 조망하고자 한다. | 3 | |
2 | 다큐멘터리사진연구1 | Study on documentary photography1 | 인간의 삶과 그 주위의 총체적 환경을 분석하여 의미를 찾아보며 기록사진으로서의 역사적 가치를 이해한다. 특히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삶의 방법들을 역사적 맥락에서 사진으로 기록한다. | 3 | |
3 | 사진미학 | Study on photo aesthetic | 사진의 미학적 개념을 규정하고 사진이 미적가치를 갖게되는 원리를 연구한다. | 3 | |
4 | 광고사진 세미나 | Advertising photography seminar | 광고사진에 사용되는 Photoshop, Capture 1 Pro 프로그램 사용법 습득. 음식, 제품(블랙글라스)촬영에 요구되는 조명기술과 창조적인 아이디어 발상법을 연구 | 3 | |
5 | 미디어사진연구 | A study of media photography | 미디어 사진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이미지 생산자적 접근의 가능성을 알아본다. | 3 | |
6 | 메이킹 포토 | Making photo | 복합화되고 심화되어가는 인간의 심층적 내면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만드는 사진연구 | 3 | |
7 | 색채연구 | Study on color theory | 색채에 대한 과학, 심리학, 마케팅 등 다양한 접근을 통하여, 이를 이해하고, 유용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3 | |
8 | 사진커뮤니케이션론 | Photo communication theory | 본 과목은 커뮤니케이션의 역사에 비추어 이미지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사회적 역할, 특징을 살펴보고 이의 효과적 구현 방법을 이해시킨다. | 3 | |
9 | 예술사진워크샵1 | Workshop on fine art photography1 | 개인작업에 대한 토론과 비평하는 과정을 통해 각자의 개성적이고 창의적인 세계로 발전시키게 한다. | 3 | 종합시험 |
10 | 현대사진비평 | Criticism on contemporary photography | 현대사진에서 논의되고 있는 쟁점들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와 비평을 통해 현대사진의 다양한 성격과 관점을 파악한다. | 3 | |
11 | 포트레이트사진연구 | A study of portrait photography | 포트레이트 사진촬영에 요구되는 사진조명법과 창조적인 아이디어 발상법을 연구 | 3 | |
12 | 풍경사진1 | Landscape photography 1 | 각자 자신들이 선정한 다양한 풍경사진을 촬영 작업 함. | 3 | |
13 | 흑백사진 | Black and White photo | 일반적인 흑백사진과는 다른 비은염의 화학약품 재료들을 이용한 수공적인 특수한 기법의 창조적인 이미지 제작을 연구한다. | 3 | |
14 | 다큐멘터리사진연구2 | Documentary photography 2 | 인간의 삶과 그 주위의 총체적 환경을 분석하여 의미를 찾아보며 기록사진으로서의 역사적 가치를 이해한다. 특히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삶의 방법들을 역사적 맥락에서 사진으로 기록한다. | 3 | |
15 | 예술사진워크샵2 | Workshop on fine art photography2 | 개인작업에 대한 토론과 비평하는 과정을 통해 각자의 개성적이고 창의적인 세계로 발전시키게 한다. | 3 | 종합시험 |
16 | 사진가연구 | Study on photographers | 현대 사진가의 작업에 대한 밀도있는 접근을 통하여 사진가 개인의 작업세계를 분석, 이해, 경험함으로서 이를 자신의 작업세계에 도움이 되기 위한 수업이다. | 3 | |
17 | 광고사진과논문리서치 | Advertising photography and thesis research | 광고사진을 포함한 사진 전 분야에 걸쳐 발표된 논문 분석 및 연구 | 3 | |
18 | 학위논문연구 |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 | 논문의 자료와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논문의 작성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3 | |
19 | 뉴미디어연구 | A study of new media | 뉴미디어의 이해를 통한 현대 시각미디어의 생산에 접목 시키고자 한다. | 3 | 논문대체 |
20 | 포토에세이 | Photo essay | 현대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에서 이미지와 텍스트의 적절한 혼합을 통해 상호 보완 관계적인 표현 양식과 방법들에 대하여 알아본다. | 3 | |
21 | 갤러리스터디 | Gallery study | 현대 미술관이나 갤러리에서 행하고 있는 전시에 관한 체계적인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다. 또한 전시기획 및 전개 등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전시의 제반 제작 과정에 대하여 연구한다. | 3 | |
22 | 광고사진가 작품 연구 | A study of advertising photographer work | 패션, 제품 관련 Master 광고사진가의 작품분석 및 연구 Master 광고사진가의 작품 분석을 통한 패션, 제품 광고사진 작품 제작 | 3 | |
23 | 풍경사진2 | Landscape photography2 | 현대사진의 이미지 확장이라는 영역에서 각자 자신들이 선정한 다양한 풍경사진을 촬영 작업함. | 3 | 논문대체 |
24 | 기초사진 | Basic photography | 사진촬영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조리개, 셔터스피드, 감도, 렌즈)을 습득 후 작품 제작 | 3 | |
25 | 광고사진 | Advertising photography | 광고사진에 대한 개념을 적립하여 사진에서 빛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조명의 원리를 익혀 광고사진촬영 및 작품제작 | 3 | 논문대체 |
26 | 아티스트북제작 | Practice making artist book | 아티스트 북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고, 인디자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각자의 작업을 사진집의 형태로 제작해 본다. 인쇄 방식, 제본 방식, 프린트 방식, 다양한 인쇄 메터리얼을 활용하여 자신만의 아티스트 북을 완성한다. | 3 | |
27 | 디지털이미지편집실기 | Digital image edit practice | 디지털 사진의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 습득을 목표로 한다. 현재 실무에서 중심적으로 쓰이는 디지털 사진의 도출, 변환, 재가공품의 생산에 이르기까지의 기본적 메카니즘을 숙달하고 디지털 암실에 대한 개념을 확립, 새로운 제작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능력을 익힌다. | 3 | |
28 | 석사과정세미나 | Master degree seminar | 사진학과내에서의 대학원생들 각자 진행하고 싶은 프로젝트의 주제를 설정 후 한 학기내에 교수와의 자율적 토론 및 진행으로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과목임. 수강 신청 학생은 담당 교수와의 토론 후 프로젝트 기획서와 계획서 그리고 결과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는 의무 사항이 있음 | 3 | 전공, 논문대체 |
※ 위의 사항은 학과(전공) 사정상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주임교수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