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대학교대학원
석사과정
광주대학교대학원
박사과정
광주대학교대학원
계약학과
- 석사과정
- 도시재생학과
- 박사과정
식품영양학과
- 학위수여명칭 : 이학석사
- 주임교수명 : 정미자
- 학위수여 가능전공 : 식품영양
- 연구실 : 062-670-2049
교육목표
식품영양학과 대학원 교과과정은 인류의 건강 증진 및 영양 개선을 위해 체계적이고 심화된 영양학 분야, 식품학 분야 및 식품관련 분야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지식과 기술을 교육한다. 즉 본 교육과정은 영양학 및 식품학 분야뿐만 아니라 식품영양관련 학문을 연구하고, 그 성과물을 실생활에 적용 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들 전문가들은 식품영양학의 제반영역을 특성화 또는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을 훈련받아 식품영양학분야의 전문리더로 사회에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식품영양학과 대학원 교육 과정은 식품학 분야, 영양학 분야 및 이들 관련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대학원 과정에서는 식품영양학과 출신들이 진로의 폭을 확장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험을 병행한 교육을 실시하여 식품영양학 관련 지식을 응용한 연구를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인재를 양성한다. 또한 본 교육은 식품영양학 관련 분야를 특성화하고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사회에 필요한 전문리더를 양성한다. 학부과정 교육은 주로 영양사 배출을 위한 교육이었다면 대학원과정에서는 국내외 교육 및 연구기관, 식품 및 영양 관련 국가 기관, 병원 등 보다 전문적인 분야에서 일을 할 수 있는 전문적인 능력이 강화된 식품영양분야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다.
교과과정(1)
번호 | 교과과목명 | 교과목 개요 | 학점 | 비고 | |
---|---|---|---|---|---|
국문명 | 영문명 | ||||
1 | 영양생리학 | Nutritional Physiology | 섭취한 영양소와 기관, 조직, 세포, 세포소기관에서의 대사적, 생리적 상호작용 및 그 조절양상을 심도 있게 다룬다. | 3 | |
2 | 식품독성학 | Food Toxicology | 식품 재료에 함유되어 있는 비영양물질과 조리, 가공에 의해 생성되는 비영양물질이 흡수된 후 생체 안에서의 반응 및 식품 내의 이러한 물질들의 형성과정 및 분포를 알아본다. | 3 | |
3 | 영양과 유전 | Nutrition and Genes | 유전자 발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소의 종류와 기작, 유전자와 영양소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하는 유전자 관련 질환의 종류와 기작, 영양상태와 유전자 발현 변화와의 관계 등 최신 동향들을 알아보고 연구결과들을 검토한다. | 3 | |
4 | 임상영양치료 1 | Clinical Nutrition Therapy | 신장질환, 암, 중환자, 임산부, 소아, 노인의 임상영양치료와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경장영양 및 정맥영양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대상자에 따라 적절한 임상영양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 | 3 | |
5 | 임상영양치료 2 | Clinical Nutrition Therapy | 신장질환, 암, 중환자, 임산부, 소아, 노인의 임상영양치료와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경장영양 및 정맥영양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대상자에 따라 적절한 임상영양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 | 3 | |
6 | 고급영양상담 및 교육 | Advanced Nutrition Counseling and Education | 식행동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행동설명이론을 익히고 영양교육과 상담에 필수적인 의사소통, 상담기법, 행동수정 방법, 교육방법 등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영양교육 상담의 실제를 살펴보고, 영양상담과 교육 프로그램 계획, 효과적인 교육과 상담을 수행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2 | |
7 | 식품학특강 | Current Topics in Food Science | 식품학에 관련된 특정 주제에 관한 최근 지식과 정보를 얻기 위해 국내·외의 학술 잡지를 읽고 요약하며 토론한다. | 3 | |
8 | 영양조사 및 평가법 | Nutritional Survey and Assessment | 식이섭취 조사, 신체계측, 생화학적 지표 등을 이용하여 개인과 집단의 영양 상태를 평가함에 있어서 올바른 조사 계획, 각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 및 기구, 공인된 평가 기준 등을 배워 실제 연구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 3 | |
9 | 병태생리학 | Pathophysiology for Clinical Nutrition | 질환의 발생 원인과 기전, 관련 증상 및 진단검사 등에 대한 개념을 이해함으로써 영양치료 대상자를 평가하고 중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학습한다. | 3 | |
10 | 고급영양이론 | Advanced Principles of Nutrition | 영양소의 소화, 흡수, 체내기능, 대사 과정을 이해하고 영양소 대사이상과 질환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영양관리에 적용하는 능력을 갖게 한다. 각 영양소의 종류와 특성을 설명할 수 있으며 에너지 대사과정과 균형을 이해하고 노화과정과 항산화 영양의 특성을 파악한다. | 3 | |
11 | 식품영양학세미나 1 | Seminar in Food and Nutrition 1 | 대학원 석사과정 학생들이 일정한 주제에 관한 최신 과학논문 자료를 찾고, 각각의 주제에 알맞은 연구방법, 연구결과 등 그 연구들의 핵심을 파악하고 정리하여 발표함으로써 최신 과학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1 | |
12 | 식품영양학세미나 2 | Seminar in Food and Nutrition 2 | 대학원 석사과정 학생이 본인의 학위논문과 관련된 분야의 최신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연구방법, 결과 등을 정리하여 발표함으로써 본인의 학위논문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다른 대학원생들에게 새로운 정보를 제공한다. | 1 | |
13 | 대학원논문연구 | Reading and Research | 식품영양학을 전공하는 석사과정 학생들의 논문을 지도한다. | 3 | |
14 | 고급식품학연구 | Studies in Advanced Food Science | 다당류, 지질, 단백질, 색소, 방향 성분, 2차 대사산물 둥의 화학 구조, 성질, 반응 및 식품의 물성, 조리 가공 중의 변화 등 식품학 전반에 걸친 깊이 있는 공부를 한다. | 3 | |
15 | 식품기기분석 및 실험 | Instrumental Food Analysis and Lab. | Spectroscopy, chromatography 등 기본적인 식품의 성분 분석과 식품의 미량 원소의 분석 및 정량에 사용되는 기기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실험을 통해 기기의 사용법을 숙지하여 식품의 분석에 필요한 이론과 실험기술을 학습한다. | 2 | |
16 | 영양실험연구 | Nutrition Research and Lab. | 영양학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연구방법론과 여러 실험 방법을 학습한다. 특히 식품 성분의 건강기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동물실험기술을 습득한다. | 2 | |
17 | 식품위생학 | Food Sanitation | 식품 위생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고 각종 식중독에 대한 이론과 기생충, 식품공해 등에 관한 내용과 식품위생에 관한 여러 법규에 관하여 토론한다. | 3 | |
18 | 식품가공특론 | Advanced Food Processing | 식품재료의 주요 가공처리방법 즉 열처리, 건조, 살균, 발효, 냉동, 분리, 추출 및 효소처리 방법 등을 익히고 이들 처리가 제품의 기호도 및 영양가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한다. | 3 | |
19 | 식품저장학특론 | Advanced Food Preservation | 식품품질 요인인 영양학적 요소, 위생학적 효소, 관능적 요소 및 기호적 가치에 대한 기초지식을 통해 이들 요소들 유지 또는 향상시킬 수 있는 최근의 식품저장법에 관한 원리를 학습한다. 또한 각 식품의 품질관리 방법과 식품첨가물의 효율적 이용방법을 연구한다. | 3 | |
20 | 고급생화학 | Advanced Biochemistry | 생화학 물질의 3차원적인 구조의 특성과 이에 따른 기능, 합성과 분해과정 및 조절기전을 학습한다. | 3 | |
21 | 효능평가특수연구 | Special Research for Efficacy Evaluation | 식품으로부터 얻은 소재를 바탕으로 잘 알려진 이론을 바탕으로 그 소재의 건강기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실질적인 실험능력을 배양한다. | 2 | |
22 | 면역과 영양 | Immunity and Nutrition | 생체방어기구인 면역체계 및 각종 면역기전을 학습하며, 각 영양소가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면역관련 질병들의 발생기전 및 그 질병들의 억제방법 등을 학습한다. | 3 | |
23 | 식품 미생물 특론 | Topics in Food Microbiology | 식품과 관련된 미생물의 최신 논제를 선택하여 강의하고 토의한다. | 3 | |
24 | 기능성식품과 영양 | Functional Foods and Nutrition | 기능성식품의 안전성과 기능성평가, 관련 연구방법 그리고 기능성 식품 개발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 3 | |
25 | 식품바이러스학 | Food Virology | 식중독 바이러스는 세균처럼 식품 내에서 증식할 수 없지만, 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크고 매우 작은 입자 형태로 식품을 통해 감염되기 때문에 바이러스의 특징과 병인 등의 기본 지식을 배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식품 분야에서 요구하는 미생물 저감화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3 | |
26 | 식품산업R&D프로젝트메니져Ⅰ | Development to Project Manager of Foods IndustryⅠ | 지속적인 성장추세를 유지하는 식품산업(HMR, 커피, 고령친화식품, 건강기능성식품 등) R&D분야의 연구개발전담요원 양성을 목표로 실제 개발사례 분석을 시작으로 시장조사, RFP 작성, 연구계획서, 연구보고서, 논문작성 등 프로젝트형 실습수업을 진행하여 식품산업분야 연구개발 전문인력 프로젝트 매니져 양성 과정 | 3 | |
27 | 식품산업R&D프로젝트메니져Ⅱ | Development to Project Manager of Foods IndustryⅡ | 지속적인 성장추세를 유지하는 식품산업(HMR, 커피, 고령친화식품, 건강기능성식품 등) R&D분야의 연구개발전담요원 양성을 목표로 실제 개발사례 분석을 시작으로 시장조사, RFP 작성, 연구계획서, 연구보고서, 논문작성 등 프로젝트형 실습수업을 진행하여 식품산업분야 연구개발 전문인력 프로젝트 매니져 양성 과정 | 3 | |
28 | 식품미생물학1 | Food Microbiology 1 | 미생물의 종류는 크게 세균, 바이러스, 진균류로 나뉜다. 식품에 존재하는 미생물 중 발표에 관여하는 미생물은 세균이 대표적이며, 진균류 중 효모와 곰팡이도 특정 발효 식품에서 활용된다. 식중독은 식품 섭취 시 세균, 바이러스, 진균류가 원이이 되어 발병한다. 본 교과목을 통해 미생물에 의한 유익, 유해 작용으로 발효원리와 식중독 발병 원인의 기본 지식을 배양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3 | |
29 | 식품산업R&D프로젝트메니져Ⅲ | Development to Project Manager of Foods Industry Ⅲ | 지속적인 성장추세를 유지하는 식품산업(HMR, 커피, 고령친화식품, 건강기능성식품 등) R&D분야의 연구개발전담요원 양성을 목표로 실제 개발사례 분석을 시작으로 시장조사, RFP 작성, 연구계획서, 연구보고서, 논문작성 등 프로젝트형 실습수업을 진행하여 식품산업분야 연구개발 전문인력 프로젝트 메니져 양성 과정 | 3 | |
30 | 식품산업R&D프로젝트메니저Ⅳ | Development to Project Manager of Foods Industry Ⅳ | 지속적인 성장추세를 유지하는 식품산업(HMR, 커피, 고령친화식품, 건강기능성식품 등) R&D분야의 연구개발전담요원 양성을 목표로 실제 개발사례 분석을 시작으로 시장조사, RFP 작성, 연구계획서, 연구보고서, 논문작성 등 프로젝트형 실습수업을 진행하여 식품산업분야 연구개발 전문인력 프로젝트 메니져 양성 과정 | 3 | 전공,논문대체 |
31 | 식품미생물학2 | Food Microbiology2 | 미생물의 종류는 크게 세균, 바이러스, 진균류로 나뉜다. 식품에 존재하는 미생물 중 발표에 관여하는 미생물은 세균이 대표적이며, 진균류 중 효모와 곰팡이도 특정 발효 식품에서 활용된다. 식중독은 식품 섭취 시 세균, 바이러스, 진균류가 원인이 되어 발병한다. 본 교과목을 통해 미생물에 의한 유익, 유해 작용으로 발효원리와 식중독 발생 원인의 기본 지식을 배양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