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대학교대학원
석사과정
광주대학교대학원
박사과정
광주대학교대학원
계약학과
- 석사과정
- 도시재생학과
- 박사과정
의상학과
- 학위수여명칭 : 의상학석사
- 주임교수명 : 허승연
- 학위수여 가능전공 : 의상
- 연구실 : 062-670-2877
교육목표
시대와 환경, 인체에 적합한 의상디자인 개발, 패션과 예술의 조화, 세계패션산업의 변화적응, 한국복식의 현대적 해석 등 패션디자인과 관련된 예술적 감각과 과학적 요소, 시대적인 요구를 균형있게 조화시킴으로써 세계화시대의 부가가치 산업인 패션업계를 이끌어갈 패션 전문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서양복과 한복의 디자인과 제작, 패션 마케팅 분야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을 습득하고 연구하며, 현장체험과 1:1 개인지도를 통한 실기교육을 실시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능력있는 패션산업 분야의 전문인을 양성한다. 현대 사회에서 패션 산업은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가장 큰 기여를 하는 산업으로 섬유, 실, 직물, 의복생산과 유통의 전 과정에 걸쳐 각 단계별 상품 디자인과 기획, 생산, 유통 분야의 전문가로 일할 수 있다. 패션 산업 분야의 전문가들에는 패션 디자이너, 패션 머천다이저, 패터니스트, 패션 코오디네이터, 부띠끄나 패션 매장의 바이어나 경영주, 브랜드 매니저, 한복점, 패션 컨설턴트, 패션 정보업체의 연구원 등이 있으며, 대학원 박사과정 진학이 가능하다.
교과과정
번호 | 교과과목명 | 교과목 개요 | 학점 | 시간 | |
---|---|---|---|---|---|
국문명 | 영문명 | ||||
1 | 서양복식사 특론 | History of Western Costume | 서양의복의 변천과정을 고대 이집트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각 나라의 자연환경과 시대의 정치, 경제, 사회, 종교, 문화적 배경을 고찰함으로서 현대의 새로운 패션디자인의 경향과 창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3 | 3 |
2 | 복식디자인연구 및 실제 | Study and Practice of Fashion Design | 급속도로 변화하는 유행경향에 적합한 의상디자인을 창출해 낼 수 있도록 기능적이고 창의적인 의상디자인을 복식디자인 이론과 아이디어 발상법을 통하여 실습으로 습득하고, 소재개발과 아울러 어패럴디자인 개발을 위한 종합적인 능력을 기른 후, 이를 기초로 브랜드 컨셉에 맞는 콜렉션을 만든다. | 3 | 3 |
3 | 의복 제작 연구 | Research in Principles of Clothing Construction | 의복제작을 위한 디자인의 샘풀패턴 제작과 소재의 특성에 맞는 봉제, 생산공정에 대한 단계별 공정순서 및 기술, 생산 방식을 과학적인 측면에서 습득하고 나아가 봉제기술과 제품생산 방법의 향상과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3 | 3 |
4 | 창작 의상과 예술 | Creative Fashion Design and Art | 창의적인 의상디자인의 개발이나 특수소재에 의한 창의적인 미술의상, 연극, T.V, 오페라 등에 대한 의상의 특성을 분석하여, 분야별 의상디자인을 전개하고, 제작할 수 있는 종합적인 능력을 기른다. | 3 | 3 |
5 | 특수 의복 설계 | Clothing for Special Needs | 인체와 의복, 환경 3요소의 상호관계 속에서 여러 환경에 적합하도록 기능성과 패션을 겸비한 의복을 디자인 전개 및 제작한다 | 3 | 3 |
6 | 인체와 의복 구성 연구 | Human Body and Apparel Design | 인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분석하여 인체의 특징에 따라 분류된 체형의 특성과 패턴메이킹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 3 | 3 |
7 | 컴퓨터 어패럴 디자인 연구 |
Computer Aided Apparel Design | 패턴 전문 소프트웨어 PADsystem을 이용하여 의복종류별 패턴에 대한 분석과 그레이딩 작업에 대한 방법을 배움으로서 현장 실무에 필요한 대량 생산 시스템의 기성복 제작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 3 | 3 |
8 | 의상디자인과 입체 패턴 | Clothing Design and Draping | 작품성과 기능성을 꾀할 수 있도록 고차원적인 입체재단법을 연구한다. | 3 | 3 |
9 | 한국 복식 특론 | Study in the History of Korean Costume | 한국복식의 변천과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시대별, 주제별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한국복식의 이론적 틀을 세운다. | 3 | 3 |
10 | 민속 의상 연구 | Study of Folk Costume | 각 나라의 고유복식을 종류와 특성 및 용도별로 살펴, 민속간의 복식차이 발생요인과 형태적 특징 등을 분석한다. | 3 | 3 |
11 | 특수 한국 의상 연구 | Advanced Study of Korean Costume | 출토복식의 보수와 복원을 중심으로 한복구성 토대 위에 다양한 구성법과 봉제법을 연구한다. | 3 | 3 |
12 | 복식 문화 인류학 | Cultural Anthropology of Clothing | 문화인류학적 측면에서 민속복식의 재료, 염색법, 디자인, 문화와의 관계에 대해 연구한다. | 3 | 3 |
13 | 복식 예술론 | Theory of Costume Art | 산업혁명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경제, 기술, 사회문화적 규범의 변화와 함께 등장하는 예술사조와 그에 따른 복식디자인의 변화를 연구한다. | 3 | 3 |
14 | 복식 사회심리 특론 | Advanced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 자기개념, 인상형성, 동조성 등의 사회심리학 이론을 학습하고, 그 이론이 설명할 수 있는 인간의 복식 행동을 연구한다 | 3 | 3 |
15 | 패션 소비자 행동론 | Comsumer Behavior in Fashion | 의복구매/선택 소비자가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하는 의류상품을 탐색, 구매, 사용, 평가, 처분하는 의사결정 전 과정을 연구한다. | 3 | 3 |
16 | 패션 마케팅 특론 | Advanced Fashion Marketing | 패션마케팅 분야 연구에서 다루어지는 주요 이론이나 논제들에 관해 학습한다. | 3 | 3 |
17 | 패션 산업 특론 | Advanced Fashion Business | 새로 런칭할 어패럴 브랜드를 상정하여 패션 산업 전반에 걸친 조사와 시장조사, 정보 수집 및 분석을 통해 브랜드 컨셉을 설정하고, 패션 머천다이징 과정을 학습한다. | 3 | 3 |
18 | 패션 리테일링 특론 | Advanced Fashion Retailing | 한국 패션 소매업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고, 패션 리테일링의 중심이 되는 바이어의 역할과 직무 수행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 3 | 3 |
19 | 패션 정보 수집 및 분석 | Fashion Information Study | 해당 시즌의 패션 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 3 | 3 |
20 | 동양 복식사 연구 | Study in the History of Oriental Costume | 동양복식의 근간이 되는 중국복식 중심의 복식사 연구와 일본 및 한국 복식을 중점적으로 비교 분석, 연구한다. | 3 | 3 |
21 | 한국의복구성특론 |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Korean Costume | 한복구성의 고급단계로 원삼, 당의, 직령 등 우리나라 포제 중심의 구성법과 봉제법을 연구하여 다양한 패턴과 바느질법을 학습한다. | 3 | 3 |
22 | 의상학연구방법론 | Clothing Research Methodology | 의상학 분야의 연구방법과 기초적인 통계방법을 학습하여 기존의 연구논문 이해와 실제 학위논문 작성에 필요한 연구과정을 학습한다. | 3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