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대학교대학원
석사과정
광주대학교대학원
박사과정
광주대학교대학원
계약학과
- 석사과정
- 도시재생학과
- 박사과정
평생교육학과
- 학위수여명칭 : 교육학박사
- 주임교수명 : 정민
- 학위수여 가능전공 : 평생교육
- 연구실 : 062-670-2298
교육목표
평생교육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실천적 경험을 축적하여 평생교육 및 성인교육, HRD(인적자원개발), 직업교육 현장에서 학자 혹은 실무자로서 평생교육 분야에 발전에 기여할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전공은 평생교육 분야에 진출하고자 하는 예비 평생교육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평생교육 관련 기관이나 활동에 종사하는 현직 평생교육전문가를 위한 계속교육, 평생교육 이론과 정책 연구를 위한 평생교육학자 양성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교과를 개설한다.
- 개정된 평생교육법에 근거한 평생교육사 자격 취득을 위한 전문교육과정
- 평생교육에 관한 이론과 실무 능력을 겸비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
- 평생교육의 각 하위 영역별로 고도의 평생교육적 전문성을 개발하기 위한 평생교육전공 특화 교과목
- 평생교육 분야의 글로벌 동향을 파악하고 벤치마킹하기 위한 교육과정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평생교육학과는 다가오는 선진복지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사회교육, 상담교육, 산업교육, 청소년교육 분야를 선도할 지도자와 전문가 양성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평생학습시대의 도래와 함께 최근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는 평생교육사 및 상담교사, 청소년 전문가에 대한 수요 증대, 체계적인 진로개발과 적극적인 산·학 연계시스템을 통한 취업 활성화 노력의 결과가 될 것이다.
더욱이 최근 정부는 각종 평생교육기관에 평생교육사 배치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청소년문제의 관심증대로 일선상담교사의 임용확대가 예상되고 있고, 청소년상담사 및 지도사의 역할 또한 강화될 예정이다.
평생교육 전공에서 개설한 교과목을 일정 학점 이상 이수한 자는 평생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평생교육사는 평생교육 전문가로서 평생교육에 관한 기획업무, 진행업무, 분석업무, 평가업무 및 교수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평생교육사는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학력인정 평생교육기관, 지역평생교육기관, 사업장부설 평생교육기관, 백화점 문화센터 등 각종 평생교육시설과 유관 단체 등에서 근무할 수 있다.
박사과정 평생교육학과 교과과정
번호 | 교과과목명 | 교과목 개요 | 학점 | 시간 | 비고 | |
---|---|---|---|---|---|---|
국문명 | 영문명 | |||||
1 | 평생교육론 세미나 | Seminar in Theory of Lifelong Education | 평생교육의 이론적 배경 및 발전과정 고찰, 평생교육 현황을 반추하고 변화방향 모색 | 3 | 3 | |
2 | 평생교육방법론 연구 | Advanced Study Lifelong Education Mothods | 평생교육방법론 원리와 실제 기법 이해 및 연구 | 3 | 3 | 종합시험교과목 |
3 |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 연구 | Advanced Program Development in Lifelong Education | 평생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이해,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실습 | 3 | 3 | |
4 | 평생교육조사방법론 | Research Methods in Lifelong Education | 평생교육연구에 관련한 질적·양적 연구방법에 대한 이해 | 3 | 3 | |
5 | 청소년교육론 세미나 | Seminar on Adolescence in Sociocultural Context | 청소년의 성장 및 발달 이론학습, 평생 교육기관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교육전략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의 | 3 | 3 | |
6 | 상담심리학연구 | Counseling Psychology | 상담이론의 접근, 집단의 원리, 카운슬링의 역동성, 소집단이론 등을 중심으로 개인 및 집단 상담의 기초이론과 실제에 대한 이해 | 3 | 3 | |
7 | 노인교육세미나 | Seminar on Gerontology | 노인들의 사회적, 심리적 측면 이론 학습, 노인 교육의 효과적인 교육기획과 전략 및 방법 모색 | 3 | 3 | |
8 | 기업교육세미나 | Seminar on Corporate Education | 기업교육의 현황, 프로그램 및 문제점 논의, 효과적인 기업교육을 위한 전략 및 방향을 모색 | 3 | 3 | |
9 | 원격교육론세미나 | Seminar on Distance Education | 원격교육의 이론, 원격교육활용에 대한 이해 및 실습 | 3 | 3 | |
10 | 평생교육경영론 세미나 | Seminar on Management for Lifelong Education | 각종 평생교육기관의 경영에 관한 제반 이론을 습득,실제 사례를 통한 올바른 경영·행정 이해 | 3 | 3 | |
11 | 직업·진로설계 연구 | Career Counseling and Guidance | 학습과 연계된 직업 및 진로상담과 상담방법 유형 이해 | 3 | 3 | |
12 | 인적자원개발론 세미나 | Seminar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 지식기반사회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의미 탐색 및 접근방법에 대한 이해 | 3 | 3 | |
13 | 성인학습 및 상담연구 | Adult Learning and Counseling Consulting | 성인학습자들의 학습동기 및 특성 관련 이론 및 상담 연구 | 3 | 3 | |
14 | 시민교육론 | Civic Education | 시민 참여교육 및 시민교육의 영역과 과제들을 구명, 시민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관점 형성 | 3 | 3 | 종합시험교과목 |
15 | 평생교육 고급통계 | Advanced Statistics in Lifelong Education | 교육연구에 쓰이는 통계방법을 소개, 연구의 적용 능력을 배양. | 3 | 3 | |
16 | 평생교육 철학과 역사 | Philosyphy of Lifelong Education | 평생교육의 학문적 성격과 특성 규명, 본질탐구 및 평생교육의 이론의 분석적·종합적 접근 통해 나아가야 할 방향 탐색 | 3 | 3 | |
17 | 평생교육정책 세미나 | Seminar on Lifelong Educational Policy | 우리나라 평생교육정책의 변천사에 대한 이해와 현 평생교육정책에 대한 비판적 분석 | 3 | 3 | |
18 | 평생교육실습 세미나 | Seminar Lifelong Education Practicum | 평생교육의 실제에 대한 현장 감각, 평생교육의 실제적 안목을 함양 | 3 | 3 | |
19 | 논문지도 | Guide on thesis |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설계와 연구방법지도 | 2 | 3 | |
20 | 평생교육 기획평가론 | Planning and Evaluation of Lifelong Education | 평생교육 관련 각종 사업들에 대한 기획 및 평가에 대한 이해와 방법 탐색 | 3 | 3 | |
21 | 평생교육지도자론 | Leadership for Lifelong Education | 평생교육지도자의 철학,사명,역할 등에 대한 탐색, 인간관계 기술 등 지도능력 배양 | 3 | 3 | |
22 | 지역사회교육론 세미나 | Seminar on Community Education | 지역주민 평생교육의 이론 및 현황을 학습 | 3 | 3 | |
23 | 비교평생교육학 세미나 | Seminar on Comparative Lifelong Education | 세계 각 국가들의 평생교육 제도,실천 현장을 다양한 형태의 평생 교육 프로그램과 전달체제, 평가체제, 사회적 인식 등으로 비교 연구 | 3 | 3 | |
24 | 문화예술교육 연구 | Culture and Art Education | 문화·예술과 교육의 관계 이해, 문화·예술교육의 실제에 대해 비판적 안목 형성 | 3 | 3 | |
25 | 평생학습도시론 | Theory and Practice of Lifelong Learning City | 평생학습도시 출현 배경과 현 평생학습도시사업에 대한 비판적인 점검 | 3 | 3 | |
26 | 교육복지론 세미나 | Seminar on Education Welfare | 교육복지에 대한 학문적 이해, 국내외 동향과 정책,과제 등 탐색 | 3 | 3 | |
27 | 여성인적자원개발 세미나 | Seminar on Woman Resource Development | 평생학습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조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여성 인적 자원개발의 실태를 연구하고 관련 이론을 탐구함으로써 국가적 차원에서 여성 인적 자원개발의 가능성을 모색 | 3 | 3 | |
28 | 고급집단상담 | Advanced Group Counseling | 다양한 집단상담 이론을 배우고 실제 역량을 향상 할 수 있도록 기법과 기술 습득 | 3 | 3 | |
29 | 고급 가족상담 | Advanced Family Counseling | 가족상담 이론을 익혀 실제적용할 수 있는 역량배양 | 3 | 3 | |
30 | 상담교육 | Counseling Education | 상담에 대한 이론을 심화하고 상담실제 역량을 향상시켜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도 | 3 | 3 | |
31 | 청소년상담 | Youth Counseling | 청소년상담사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고 이론과 실제를 익혀 청소년상담 실제 적용능력배양 | 3 | 3 | |
32 | 교육학연구세미나 | Research Seminar In Educational Studies | 교육학 연구의 기초적 논리를 탐색하고, 교육학 세부 영역별 연구 주제 및 절차에 대해 학습 | 3 | 3 | |
33 | 고급 상담심리학 | Advanced Counseling Psychology | 상담심리이론에 대한 이해와 상담방법에 대한 실습 | 3 | 3 | 종합시험교과목 |
34 | 고급 연구설계와 자료분석 | Advanced Research Design and Data Analysis | 논문 작성을 위한 연구설계 방법과 연구진행을 위한 자료분석 방법에 대한 심화 학습 | 3 | 3 |
※ 위의 사항은 학과(전공) 사정상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주임교수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