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실용적 전문지식을 위한 광주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보건상담정책대학원

유아교육학과(박사)

  • 학과소개 >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박사)
  • 인쇄

광주대학교대학원

계약학과

  • 박사과정

유아교육학과

학위수여명칭 : 교육학박사
주임교수명 : 김호현
학위수여 가능전공 : 유아교육
연구실 : 062-670-2317
교육목표

본 유아교육과는 차세대를 위한 바람직한 교육의 실천과 발전을 위해 유아교육현장의 교사 및 지도자들이 갖추어야 할 전문적 지식과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아교육 이론과 세계적인 동향을 심도있게 탐구함으로써 유아교육현장을 개선, 발전시키고 학문적 발전에 이바지 할 전문 인력을 양성함을 목표로 한다.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본 유아교육과는 이론적 이해를 교육의 실제에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운영함으로써 졸업생들은 향후 유아교육 전문가로서 유아교육 현장의 바람직한 변화 및 학문적 발전에 이바지 할 것이다.

박사과정 유아교육학과 교과과정
박사과정 유아교육학과 교과과정
번호 교과과목명 교과목 개요 학점 시간 비고
국문명 영문명
1 유아교육철학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의 방향과 가치, 교육적 신념을 형성하기 위해 유아교육 철학자의 사상과 다양한 유아교육철학을 이해하고 분석해본다. 3 3
2 유아교육세미나 Semina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에 관련된 주제를 선정하여 주제에 따른 토론과 이해를 통해 주제에 관련된 개념을 숙고하고 고찰함으로써 유아교육의 전문적 지식을 활용해본다. 3 3
3 유아교육과정연구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 과정의 철학, 목표, 내용, 방법, 교수법, 평가 등의 전 과정을 깊이 있게 연구하여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통합적 관점을 배양한다. 3 3
4 유아발달연구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인지발달, 정신분석이론, 학습이론, 정보처리이론 등 유아교육 이론을 이해하고 심화시킬 수 있는 발달이론을 심도 있게 다룬다. 3 3 종합시험 교과목
5 부모교육세미나 Seminar in Parent Education 부모교육 이론, 부모교육 형태 등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여 유아교육 현장에 직접 적용해 볼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3 3 종합시험 교과목
6 비교유아교육세미나 Seminar on Comparative Stud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세계 여러 나라의 유아교육제도와 다문화 유아교육과정을 비교 연구하여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3 3
7 유아놀이연구 Play for Young Children 유아놀이에 관한 이론과 연구를 검토하여 놀이의 발달적 특징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놀이 환경구성 및 발달적으로 적합한 놀이 활동을 구성하고 적용한다. 3 3 종합시험 교과목
8 유아교수-학습방법론 Teaching and Lear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에서의 교수학습이론에 대한 이해와 적용을 통해 유아들의 발달단계에 따른 교수학습과정을 개발하고 실천해 본다. 3 3
9 유아언어교육연구 Language A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언어의 본질적 기능과 언어습득, 발달, 교육이론에 대한 지식을 연마하고 이를 토대로 발달적으로 적합한 언어교육과정을 구성하고 현장에 적용해 본다. 3 3
10 유아문학교육연구 Children's Literature 유아 문학의 역사적 배경과 동향을 이해하고 유아문학의 본질 및 교육적 기능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토대로 바람직한 문학교육적 접근에 대해 탐구한다. 3 3 종합시험 교과목
11 유아수학교육연구 Mathemat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의 수학적 지식의 발달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탐구하고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최근 연구 및 동향을 살핌으로써 이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과정 구성 및 교육방법을 연구한다. 3 3
12 유아과학교육연구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과학교육 개념과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유아과학교육 이론을 근거로 실제적 적용을 위한 틀을 구상하며 유아과학교육과 관련된 국내 ․ 외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고찰해본다. 3 3 종합시험 교과목
13 유아사회교육연구 Social Studies for Young Children 유아의 사회화와 사회성 발달의 특성 및 영향을 주는 요인을 고찰하고, 이에 관련된 국내 ․ 외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고찰해본다. 3 3
14 유아음악교육연구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유아 음악에 관한 학습 이론을 살펴보고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실제와 연구물 고찰을 통한 실제를 비교분석하여 심도 있는 유아 음악교육의 방안을 연구한다. 3 3
15 유아미술교육연구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유아미술교육의 본질과 발달적 특징에 따른 이론적 지식을 탐구하여 바람직한 미술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연마한다. 3 3
16 유아건강교육세미나 Seminar in Heal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영유아기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연구하여 유아교육 현장의 질적 향상을 위한 관점을 넓힌다. 3 3
17 유아멀티미디어 교육연구 Multi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를 위한 멀티미디어 교육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컴퓨터, 비디오, 오디오, CD-Rom title,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교육에 적용하는 방안을 탐색한다. 3 3
18 영재교육론 Gifted Education 영재아의 특성, 욕구, 판별 및 부모와 교사의 역할을 인식하고, 세계 각국의 영재교육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21세기의 한국 실정에 적합한 유아영재교육을 구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3 3
19 창의성교육 Creat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창의성 계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창조적인 태도와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 다양한 창의성 이론을 습득하여 이를 실생활에 접목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한다. 3 3
20 영유아교육정책및평가세미나 Policy and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영유아 교육 및 보육과 관련된 정보의 최근 정책 및 동향을 살펴보고 유아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 법과 제도, 이론 등을 탐구한다. 3 3
21 유아 행동 관찰/ 기록 및 평가연구 Observing/Recording and Evaluating of Young Children’s Behaviors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행동에 대한 관찰과 기록 및 평가방법에 대한 이론 및 실제적 이해를 넓히고 관찰 기록을 통한 유아의 이해와 바람직한 교육적 접근에 대한 시사점을 연구한다. 3 3
22 유아교육연구동향 Current Issues and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다양한 주제를 탐색하고, 새로운 연구동향에 따른 연구에 대한 경향을 이해하고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관점을 확립한다. 3 3
23 유아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연구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Child Education Program 유아교육 동향, 발달 및 교육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유아프로그램과 평가의 개발에 대한 이해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목표, 적절한 내용 및 교수방법, 자료 선정 등을 고려한 유아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을 모색한다. 3 3
24 유아교육 질적 연구 방법론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 연구방법에서의 질적인 연구방법의 철학적 배경, 방법론적 측면 및 평가방법에 대해 탐함으로써 유아교육과 관련된 질적 연구를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3 3
25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세미나 Seminar on Administration and Supervis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기관의 프로그램 구성, 경영, 장학의 원리에 대하여 연구한다. 특히 유아교육기관의 경영에 대한 실제와 평가를 강조한다. 3 3
26 교육과 문화 Education and Culture 인간의 삶, 문화, 교육에 대한 이해와 문화와 교육의 특성과 관계를 이해하며, 문화의 형성과 변동, 문화 지체와 교육과의 관련성, 가정문화, 학교문화, 주변 환경, 대중문화와 미디어, 교육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적용한다. 3 3
27 통합교육세미나 Seminar in Inclusive Education 다양한 형태의 특수교육 대상의 장애유아와 관련된 이론과 실제를 파악하고 일반아와 장애아의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 방안과 실제를 연마한다. 3 3
28 유아교육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Ⅰ 유아교육과 관련된 연구유형, 방법, 연구의 계획 및 실행, 정산처리 및 연구 보고서 작성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유아교육 분야에서의 과학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자질을 기른다. 3 3
29 고급통계 Advanced Statistics 고급통계에서는 유아교육 분야의 연구 과정에서 필요한 자료 분석 방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추리통계 방법의 이해와 적용을 위한 다양한 연구방법 및 분석 기법을 습득한다. 3 0
30 개별연구지도 Individual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연구자의 관심 영역에 따라 주제를 선정하고, 문제를 제기한다. 문제 제기에 따라 이론적 배경 및 연구의 방법을 전개하며 연구를 진행한다. 3 3
31 유아교육통계  Statist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 관련 논문을 읽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논문 작성 시 필요한 SPSS 통계 처리 능력을 기른다. 3 3
32 인성교육의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in Character Education 인성교육의 역사, 종류, 방법 등을 강의, 토론, 내러티브 방법으로 탐색하여 학습자 본인의 인성을 기름으로써 유아의 인성을 고취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을 가진다. 3 3
33 창의적문제해결 Creative Problem Solving for Early Chilhood Education 본 강좌에서는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창의성 이론과 문제해결 접근 방법을 소개하고, 실제로 창의성 기법과 문제해결력 모형을 중심으로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학습한다. 3 3

※ 위의 사항은 학과(전공) 사정상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주임교수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