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대학교대학원
석사과정
광주대학교대학원
박사과정
광주대학교대학원
계약학과
- 석사과정
- 도시재생학과
- 박사과정
관광학과
- 학위수여명칭 : 호텔관광경영학박사
- 주임교수명 : 김정훈, 최동희
- 학위수여 가능전공 : 관광,호텔경영
- 연구실 : 062-670-2371, 062-670-2275
교육목표
관광학과는 관광비즈니스 전문경영인, 관광연구 전문인력, 관광관광학계 교육자, 지역관광 전문인력 등의 창의적 관광전문인력 양성을 교육의 궁극적 목표로 한다. 이와 같은 관광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관광현상 및 관광비즈니스에 대한 관광이론 탐구와 실무분석능력 배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하였다. 또한 국내ㆍ외의 관광학 관련 선행연구와 현황을 분석하고, 문화적 다원성을 이해할 수 있는 뛰어난 역량의 실천적 리더십교육을 병행한다.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관광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21세기 유망산업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더불어 국가이미지 제고 및 지속가능한 녹색산업으로 국가의 전략산업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관광학과는 관광학 전공과 호텔경영학 전공교육과정으로 세분화하여 학계 및 관광산업 전 분야에서 요구하는 관광전문인 양성에 중심을 두고 있다.
또한 전공교육과정에서 다양한 관광관련분야 전문가들과의 교류 증진을 위한 세미나 및 포럼개최를 계획하고 있으며, 실무중심형 관광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특성화 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졸업 후에는 호텔 등의 관광숙박업, 여행업, 항공업, 국제회의업, 관광객이용시설업, 관광편의시설업, 관광컨설팅, 관광공사 및 관광관련 공무원, 관광연구원, 관광학계 교수 등 다양한 방면으로 진출할 수 있으며, 그 선택의 폭은 나날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박사과정 편성 교과목 개요(관광학 전공 1)
번호 | 교과과목명 | 교과목 개요 | 학점 | 시간 | 비고* | |
---|---|---|---|---|---|---|
국문명 | 영문명 | |||||
1 | 관광사업 경영세미나 | Seminar in Tourism Business | 관광사업 전반의 경영방법론을 제시하고 관광경영분야의 주요이론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실제적인 연구를 한다. | 3 | 3 | 박사 |
2 | 관광과 문화연구 | Tourism and Culture |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한국 관광의 현황분석과 지속가능한 문화관광을 위한 체계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3 | 3 | 박사 |
3 | 관광정책 세미나 | Seminar in Tourism Policy | 관광정책의 기본이념과 목적·정책수립과정 및 집행과 평가에 관하여 고찰하고, 국내 및 외국의 관광정책을 사례분석을 통하여 연구한다. | 3 | 3 | 박사 |
4 | 관광계획개발론 | Tourism Planning & Development | 관광계획 및 개발에 관한 계획논리 및 계획과정론을 중심으로 하여 합리적인 사업계획 및 개발계획 수립방법을 연구한다. 그리고 관광개발을 위한 방법과 유형 및 개발의 적정화 요소로서의 관광대상의 물리적 구성인자에 관하여 그 내용을 사례중심으로 분석·연구한다. | 3 | 3 | 박사 |
5 | 관광마케팅 조사연구 | Tourism Marketing Research | 관광지 및 관광관련 산업 전반에 대한 실증적 마케팅조사방법론을 연구한다. | 3 | 3 | 박사 |
6 | 여행업경영특강 | Travel Agency Management | 여행업 경영관리와 이에 관련된 거시적·미시적 환경과의 상호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여행업의 합리적 경영방법과 이에 따른 다방면의 이론적 접근 방법을 연구한다. | 3 | 3 | 박사 |
7 | 관광상품기획론 | Planning of Tourism Products | 관광상품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연구를 통하여 관광상품 개발과정 및 기획 전반에 대한 내용을 연구한다. | 3 | 3 | 박사 |
8 | 관광통계연구 | Tourism Statistics Analysis | 관광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통계분석방법 연구를 통하여 관광자, 관광산업, 관광개발 등에 관련된 통계처리 절차 및 적용에 관하여 연구한다. | 3 | 3 | 박사 |
9 | 관광자행동론 특강 | Behavioral Science of Tourism | 관광의 주체인 관광객의 구매 행동원리를 학습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다. 관광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요인과, 관광객의 행동을 과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에 대응하는 대책 수립능력을 배양한다. | 3 | 3 | 박사 |
10 | 관광프로젝트 관리 | Tourism Project Management | 관광관련 산업 및 지역관광개발 등의 관관 전반의 사업계획과 실시절차에 관한 관리방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 3 | 3 | 박사 |
11 | 관광과 역사 | Tourism and History | 한국관광의 발전사를 조명해보고, 시대별 분석을 통해 그 의의와 시사점을 도출하여 역사학적 관점에서 관광의 미래를 예측한다. | 3 | 3 | 박사 |
12 | 관광관련법연구 | Study on Travel Law | 다양한 국내ㆍ외 관광관련법규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관광 발전을 위해 필요한 관련법규에 관한 연구를 한다. | 3 | 3 | 박사 |
박사과정 편성 교과목 개요(호텔경영전공 1)
번호 | 교과과목명 | 교과목 개요 | 학점 | 시간 | 비고* | |
---|---|---|---|---|---|---|
국문명 | 영문명 | |||||
1 | 호텔조직행동론 | Behavioral Science of Hotel Organization | 호텔인사조직 및 관리의 개념과 기능 그리고 문제점을 진단하고 호텔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특성을 갖는 인적자원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 호텔기업환경의 효율적 조직관리를 학습한다. | 3 | 3 | 박사 |
2 | 호텔경영전략 세미나 | Seminar of Hotel Business Strategy | 호텔경영의 경쟁이 존재하는 무한 자유시장 하에서 경쟁기업과의 비교우위를 극대화하고 위험(Risk)을 최소화함으로써 우위를 유지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 그 실행에 따른 원리를 연구한다. | 3 | 3 | 박사 |
3 | 호텔관광마케팅 | Hotel Tourism Marketing | 호텔관광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와 추구하는 편익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호텔 신상품의 개발, 가격 메카니즘 파악, 판매경로의 선정에 따른 호텔관광상품적 특성을 활용한 새로운 마케팅 개념을 학습한다. | 3 | 3 | 박사 |
4 | 호텔레스토랑 경영 연구 | Hotel Restaurant Research | 호텔 레스토랑 경영조직과 식음료관리를 과학적으로 운영하여 식음료상품의 특성을 이해하고 호텔레스토랑상품을 모델로 연구코자한다. | 3 | 3 | 박사 |
5 | 호텔회계 | Hotel Accounting | 관광산업에서의 재무, 회계 관리자의 역할을 분석하고, 경영 예측을 통한 전략적 회계 개념을 익히고 재무보고서를 인지하고 해석하는 기법을 연구한다. | 3 | 3 | 박사 |
6 | 호텔프로젝트 | Hotel Project | 신규호텔창업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기업과 외국기업을 비교분석하고 성공적인 호텔프로젝트에 연구사례를 유형화하여 연구한다. | 3 | 3 | 박사 |
7 | 컨벤션기획론 | Convention Planning | 광의의 컨벤션산업의 영역에 해당하는 MICE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컨벤션 기획, 운영 관련 이론 및 실무 교육, 문제해결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및 글로벌 프레젠테이션 능력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둔다. | 3 | 3 | 박사 |
8 | 호텔연구방법론 | Hospitality Research Methodology | 호텔경영 연구에서 요구되는 조사방법론상에 있어서의 제반문제를 실제사례와 함께 이론 및 응용전반에 걸쳐서 소개하고, 컴퓨터 패키지 (SPSS)에 의한 실습을 통하여 현장실무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토록 한다. | 3 | 3 | 박사 |
9 | 고객커뮤니케이션 |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 인간관계를 설명하는 심리학적 실험과 관련 이론을 학습함으로써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의 원리를 이해하고, 효과적인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방법을 모색한다. | 3 | 3 | 박사 |
10 | 촉진관리론 | Promotion Management | 통합적 마케팅관리과정에서 촉진전략의 위치를 파악하고,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의 기본이론과 소비자행동의 원리, 구체적인 이벤트마케팅믹스 구성요인을 학습한다. | 3 | 3 | 박사 |
11 | 리조트경영론 | Resort Management | 전반적인 리조트산업에 대한 이해와 개발의 원리, 선진국 리조트 개발 사례, 리조트 및 클럽사업체의 운영전략 등을 학습하며, 특히 국내외 리조트의 환경분석, 시장조사, 마케팅 전략 수립 등을 중점적으로 강의한다. | 3 | 3 | 박사 |
12 | 연회식음료관리 | Banquet, Food & Beverage Management | 호텔 및 외식산업 내에서 연회케이터링의 현황 및 문제점을 진단하며, 효율적인 연회케이터링 서비스관리를 위해 필요한 메뉴관리, 인적자원관리, 마케팅관리, 재무관리, 식자재관리, 프랜차이즈 경영 등을 중점적으로 학습한다. | 3 | 3 | 박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