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실용적 전문지식을 위한 광주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보건상담정책대학원

광·정보통신공학과(박사)

  • 학과소개 > 일반대학원
  • 광·정보통신공학과(박사)
  • 인쇄

광주대학교대학원

계약학과

  • 박사과정

광·정보통신공학과

학위수여명칭 : 공학박사,공학박사
주임교수명 : 엄상인, 김광현
학위수여 가능전공 : 광통신,정보통신
연구실 : 062-670-2354, 062-670-2469
교육목표

광통신공학과 정보통신공학을 융합하여 체계적인 이론교육 및 현장 수요중심의 실무교육을 통해 저에너지, 고효율, 환경친화적 첨단 신기술을 창조하는 최고급 전문연구인력 및 기술경영인을 양성하고, 관련 분야의 학문을 스스로 연구하며 후학을 교육하여 배출할 수 있는 공학도를 양성함을 교육목표로 한다.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광통신-정보통신 융합 최종학위 과정은 정보통신공학의 영역과 광통신공학의 영역을 융합한 연구과정을 운영하여 정보통신 및 광통신공학에 있어서의 최고급 연구자를 양성하고자 한다. 현재 국내의 광·정보통신산업의 인력 수급 현황을 보면 학사급의 인력은 공급 과잉 상태이나, 고급 석박사 인력은 상당히 부족한 현상을 초래하고 있으므로 향후 취업이나 진로 범위가 넓을 전망이다. 이를 위하여 견실한 교수진과 최첨단 교육장비 및 연구 장비를 구비하고 폭넓은 산학협동연구를 통한 고부가 가치적 신기술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광기술 및 정보통신 기술 분야는 미래수요가 보장되는 차세대 선도기술인 유비쿼터스망, 유무선통신, 통신시스템, 무선이동인터넷, 광전자, 광무선, 광바이오, 광센서, 레이저, 디스플레이, 반도체 광원 및 조명 분야 등의 정보통신 기술과 광기술의 융합기술을 연구하게 된다.

박사과정 편성 교과목 개요(1)
교과과정(1)
번호 교과과목명 교과목 개요 학점 비고
국문명 영문명
1 디지털통신특론 Advanced Topics on Digital Communications 현대 대부분의 통신방식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디지털 통신방식의 원리를 이해하고, 대역폭과 전력이 제한적인 통신망에서의 통신시스템의 성능평가 및 설계방법을 배운다. 3  
2 오류정정이론특론 Advanced Topics on Error Correcting Codes 4세대 이동통신, 위성통신 등의 무선 통신에서 주요하게 사용되는 현대 오류정정방식의 원리를 이해하고, 대역폭 또는 전력이 제한적인 통신망에서의 변조와 오류정정의 교환, 오류정정방법의 설계 및 VLSI구현을 배운다. 3  
3 통신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mmunication Systems 현대의 발달한 VLSI 구현기술은 다양한 기능의 시스템을 하나의 칩에 구현 가능케 하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MATLAB과 SIMULINK를 이용하여 설계하고 성능을 평가하며, 이를 FPGA를 이용하여 구현하고 측정하는 통신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의 전 과정에 대해 배운다. 3  
4 프로토콜공학 Protocol Engineering 정보통신 프로토콜의 설계, 구현, 시험, 전개 및 운용에 관한 개발 방법론, 인증시험 및 상호운용성 시험 및 관련 표준화 기술을 배운다. 3  
5 무선모바일인터넷 Wireless Mobile Internet 무선 이동 인터넷의 이동성 지원 기술, 네트워크 및 제어 프로토콜 기술, 서버 및 단말의 플랫폼, 보안 기술, 컨텐츠 및 서비스 관련 기술 배운다. 3  
6 유비쿼터스 네트워킹과 컴퓨팅 Ubiquitous Networking and Computing 생활기구와 기기를 연결한 망의 끊김없는 연결 기술, 용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사물에 탑재된 컴퓨팅 기술, 사용자의 상황의 인지동작 기술을 배운다. 3  
7 차세대인터넷 Next Generation Internet 새로운 망 계층 프로토콜(IPv6)이 요구되며, 이를 기반으로 멀티캐스팅 기술, QoS 라우팅 기술, 정책기반 네트워킹, 이동성을 고려한 Mobile IP 등과 같은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차별화된 QoS 제공 기술이 요구된다. 본 강좌에서는 이러한 기술의 연구동향 파악과 함께 최신의 인터넷 응용 기술을 연구한다. 3  
8 네트워크 시스템 관리 Network System Management 분산 환경에서의 네트워크관리에 초점을 두어 SNMP에 기초한 네트워크 관리 기술, CORBA, Mobile Agent, LDAP, XML과 같은 분산 객체 기술 분야에 대하여 연구한다. 3  
9 광대역통합망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데이터 서비스의 컨버젼스 및 다양화 함께 IP 기반 통신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All-IP의 양대 산맥인 Mobile WiMAX와 WLAN와 관련된 내용은 연구한다. Mobile WiMAX 등과 같은 핵심기술과 프로토콜 계층, 네트워크 구조, 셀룰러 이동 네트워크 기술, 이동성 접속 유지를 위한 위한 기본 기술을 연구하고자 한다. 3  
10 고급선형론 Advanced Linear Algebra 벡터와 벡터공간, 행렬과 행렬식을 이용하여 선형변환을 연구한다. 3  
11 이동통신특론 Topics on Mobile Communications 이동통신의 기본적인 개념, 현상 및 이론을 소개함과 동시에 관련된 기초적인 수학적, 물리적 현상을 설명하고, 이러한 기초 이론에 근거하여 이동통신기술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이해하도록 한다. 3  
12 정보통신특론 Topics on Information Communications 초고속 인터넷, 무선 인터넷, 이동 멀티미디어, 차세대 통신 응용 S/W 등 급변하는 정보통신 기술 중에서 최근의 주요 이슈에 관한 내용을 선별하여 토론 학습하며, 향후의 정보통신 발전 방향 및 응용에 관한 내용을 고찰한다. 3  
13 뉴미디어특강 Topics on New Media 유무선 통신분야, 방송분야 및 인터넷 분야에 걸쳐 차세대 정보통신의 새로운 기술에 대해 예측해 보고 이를 뒷받침해주는 기초 기술 및 응용 기술에 대해 알아본다. 3  
14 네트워크프로토콜특론 Topic on Network Protocol 본 강좌에서는 유무선 망에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토콜에 대해 강의하고,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설계능력을 함양한다. 3  
15 센서네트워크특론 Topic on Sensor Network 본 강좌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핵심이 되는 센서네트워크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최근 연구 방향과 개발 기술들에 대하여 강의한다. 3  
16 네트워크보안설계특론 Topic on Design of Networks Security 본 강좌에서는 유무선 망에서 침해 사고에 대한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침해 사고 대응을 위한 네트워크 보안 기법 및 설계 기법에 대하여 강의한다. 3  
17 광전자공학 Opto-electronics 레이저 다이오드, 포토다이오드 등, 광전 핵심 소자에 대하여 학습 3  
18 광패키징 Optical Packaging 광부품의 패키징 이론 및 실험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3  
19 광모듈신뢰성 Reliability of Optical Transceivers 광송수신 모듈의 신뢰성 평가 이론 및 실험 방법을 학습한다. 3  
20 물리광학 Physical Optics 기하광학 및 파동광학의 이론 및 실험 3  
21 섬유광학 Fiber Optics 광섬유 통신의 기본개념 및 실험 3  
22 양자광학 Quantum Optics 나노 포토닉스 기술의 배경이론 연구 3  
23 레이저광학 Laser Optics 반도체 광통신 광원에 관한 연구 3  
24 고급전자기학 Advanced Study in Electromagnetism 고급 전자기학 이론 연구 3  
25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수치해석의 개념과 전산모사 기법에 관한 연구 3  
26 프로젝트 설계 Project Design 프로젝트의 주제 설정, 하드웨어 시스템 설게,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작성, 실행파일, 컴파일, 디버깅, 프로젝트 시스템 구현의 전체 과정을 체계적으로 구현한다. 3  
27 디지털 신호처리 특론 Advanced Topics on Digital Signal Processing 시간영역분석, 주파수영역분석, 비순환 디지털 필터 설계, 순환 디지털 필터 설계, 이산 시스템의 시간영역, 그리고 주파수 영역 해석, FIR, IIR 필터 설계 3  
28 디지털 시스템 특론 Advanced Topics on Digital System 폰 노이만 방식 중앙처리 장치, 하버드 방식 중앙처리장치 등의 최신 개념의 CPU, 고속 메모리, 각종 통신 인터페이스 IC 및 I/C장치등 다양한 IC의 특성을 익힌 후 효율적인 디지털 시스템의 하드웨어 및 펌웨어 설계를 위한 알고리즘의 개발기법과 실현을 위한 설계방법을 연구한다. 3  
29 빅데이터분석 Big Data Analysis 방대한 데이터의 저장 및 처리 기술의 진화와 처리 비용의 하락, 빅데이터 분석 기술의 등장 등에 따라 데이터의 가공과 분석에 따라 상황 인식, 문제 해결, 미래 전망이 가능해지고 데이터가 경제적 자산과 경쟁력의 척도로 주목받은 것이다. 즉 지능화, 개인화 등 스마트 시대 주요 패러다임 선도를 위해서는 빅데이터의 활용이 핵심이며, 그 수준이 경쟁력과 성패를 좌우하게 되었다. 본 강좌는 빅데이터의 발생 환경 및 개념, 빅데이터 요소 기술 등에 대해 이해하고, 빅데이터를 실제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전랴에 대해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30 인공지능수학 Mathema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모델이 복잡해지고 데이터의 저장 및 처리 기술의 진화에 따라 인공지능 모델을 수학적인 관점에서 이해함으로써 인공지능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공지능의 모델 학습에서 중요한 오차함수의 최적화, 편미분, 행렬연산 등을 이해함으로써 새로운 인공지능 모델 설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교과는 인공지능에서 활용되는 수학적인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함으로써 다양한 인공지능 모델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켜 앞으로 새로운 모델의 개발에 적용하고 핚습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한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