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실용적 전문지식을 위한 광주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보건상담정책대학원

부동산학과(박사)

  • 학과소개 > 일반대학원
  • 부동산학과(박사)
  • 인쇄

광주대학교대학원

계약학과

  • 박사과정

부동산학과

학위수여명칭 : 부동산학박사
주임교수명 : 이명규
학위수여 가능전공 : 부동산
연구실 : 062-670-2421
교육목표

부동산학의 기본 연구영역인 도시계획, 금융, 투자·마케팅, 컨설팅, 경영과 분석, 법률 및 부동산시장의 학문적 특성을 바탕으로 학제간 협동 및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학문영역을 개척함으로써 학문적 외연을 양적․질적으로 확대시키고, 특히 사례연구와 현장실습 등을 통한 실무교육을 강화함으로써 학문과 실무를 겸비한 고급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자 한다.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본 학과는 부동산학의 전통적 학문영역인 법률, 금융, 투자·분석, 마케팅에 컨설팅과 경영정보, 국제시장 및 인터넷 비즈니스를 결합한 학제간 부동산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차별화된 부동산학을 학습토록 한다 . 본 학과는 학문적 외연의 확장과 더불어 부동산사례연구, 부동산투자 및 분석, 그리고 부동산의 문제해결 위주 교육, 현장실습 등을 강화함으로써 실무교육을 중시하는 학문의 질적 변화도 함께 추구함으로써 차별화된 교육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학과에서는 이처럼 폭넓은 부동산학과에 대한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고급인력을 양성함으로써 학문적 발전에 기여함은 물론 기업과 사회의 증대하는 고급인력 수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련 박사과정 수요조사 및 수요예측
부동산분야에 대한 학문적 수요가 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광주전남 지역에서는 전문화된 교육기관이 없음.
특히, 박사과정의 경우, 전국에서 유일하게 박사과정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있어, 많은 학생들이 인근의 전주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형편임. 현재 광주지역에서는 박사과정에 입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대기하고 있는 형편임.
광주대학교는 현재 학부 및 석사과정에 2개의 부동산 관련 학과가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인과 전문가를 위한 부동산전문교육원이 운영되고 있어 부동산 분야에 관해서는 명성을 얻고 있음.
부동산 박사과정의 설치로 학사에서 시작하여 박사까지 일관된 교육 과정을 제공하여 학교의 명성을 높이고 지역에서의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
부동산학과의 박사과정의 입학예정수를 추정하기에는 정확한 자료가 없이 어렵기는 하나 본교의 석사과정에서 배출되는 학생수와 지역 내 관련 학과에서 졸업한 학생수 그리고 기존에 박사과정에 공부하기를 원하는 잠재된 수 등을 종합적으로 볼 때 대략 5명 정도가 입학을 할 것으로 예측됨.
박사과정 개설에 따른 교육과정 개편 결과
현 대학원과정 박사과정 개설후 대학원 교육과정
구분 과목수 비율(%) 구분 과목수 비율(%)
석사     석사전용    
      석ㆍ박사공통    
      박사전용   100%
100% 100%
박사과정 편성 교과목 개요
교과과정(1)
번호 교과과목명 교과목 개요 학점 시간 비고*
국문명 영문명
1 부동산경제론1 Economics of Real Estate 1 부동산경제론에 대한 새로운 이론 및 사례 등에 관해 연구한다. 3 3 박사
2 부동산경제론2 Economics of Real Estate 2 부동산경제론에 대해 보다 심화된 새로운 이론 및 사례 등에 관해 연구한다. 3 3 박사
3 부동산계량분석론 Quantitative Analysis in Real Estate 부동산 계량분석관 관련된 분석방법에 학습하고 연구한다. 3 3 박사
4 부동산통계분석론 Statistics Anylysis in Real Estate 부동산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다양한 통계분석에 대해 연구한다. 3 3 박사
5 부동산공법특론 1 Special Regulations on Real Estate 1 부동산공법과 관련된 최신이론과 법률를 연구한다 3 3 박사
6 부동산공법특론2 Special Regulations on Real Estate 2 부동산공법과 관련 법령들을 살펴보고 최근의 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3 3 박사
7 부동산컨설팅세미나특론 Special Seminar in Consulting of Real Estate 부동산 컨설팅에 대한 최근의 이론을 살펴보고 실무에 적용되고 있는 내용에 대해 연구한다. 3 3 박사
8 부동산개발세미나 특론 Special Seminar in Development of Real Estate 부동산개발에 대한 최신 이론과 법률, 실무에 관해 세미나형식의 수업을 진행한다. 3 3 박사
9 부동산사법특론1 Special Real Estate Transactions Law 1 부동산거래와 관련된 권리분석 및 계약에 관한 사법적 문제를 민법 중심으로 연구 3 3 박사
10 부동산사법특론2 Special Real Estate Transactions Law 2 부동산사법의 고급과정으로 권리보전절차, 강제집행, 절차, 부동산등기법, 상속 등에 대해 연구한다. 3 3 박사
11 부동산회계론 Real Estate Accounting 전통적인 회계이론을 개관하고 새로운 접근방법, 회계이론의 분류 및 회계이론의 모형 등을 분석ㆍ연구한다. 3 3 박사
12 감정평가론 Real Estate Appraisal 부동산의 경제적 가치를 분석 평가하는 감정평가의 이론적ㆍ실무적 능력을 배양한다. 3 3 박사
13 부동산경영관리특강 Special Topics on Real Estate Management 부동산 경영 관리와 관련된 최신 이슈들을 파악하고 연구한다. 3 3 박사
14 부동산관리론 Real Estate Management 시설관리, 빌딩관리, 자산관리 등의 다양한 부동산관리 방안을 이론적, 실무적으로 연구한다. 3 3 박사
15 부동산마케팅론 Real Estate Marketing 부동산 마케팅의 기초이론과 활용방안을 학습하고 연구한다. 3 3 박사
16 부동산개발금융론 Real Estate Development Finance 부동산개발사업과 관련되는 금융기법에 대해 연구한다. 3 3 박사
17 부동산과 관광지개발론 Real Estate Development of Tourism 관광지 등 부동산개발에 대해 최근의 트랜드를 학습하고 연구한다. 3 3 박사
18 부동산개발현장실습 Real Estate Development Field Study 부동산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실무적 차원에서 부도산개발에 대해 분석하고 연구한다. 3 3 박사
19 금융자산관리론 Real Estate of Asset Management 부동산자산을 포함한 복합자산 포트폴리오 관리에 대해 이론 및 활용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3 3 박사
20 부동산개발컨설팅특론 Special Real Estate Development Consulting 부동산개발컨설팅과 관련된 최근의 이론족 트랜드 및 실무적 동향에 대해 연구한다. 3 3 박사
21 부동산금융연구 Research on Real Estate Finance 부동산의 장기모기지 상품의 내용 및 이를 근거로 행하는 유동화 증권의 구조 및 성격을 합습한다. 3 3 박사
22 부동산유가증권론 Real Estate Securities 부동산 관련 유가증권에 대해 심화학습을 수행한다. 3 3 박사
23 국제부동산금융론 International Real Estate Finance 국제부동산에 대한 금융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법들을 연구한다. 3 3 박사
24 부동산투자론 Real Estate Investment 부동산투자에 있어서 포트폴리오이론과 부동산투자분석기법(기본적 분석 및 기술적 분석)을 연구한다. 3 3 박사
25 해외부동산이해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al Estate 해외부동산시장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분석하고 연구한다. 3 3 박사
26 국제부동산세미나 Seminar of International Real Estate 국제부동산과 관련한 심층적 고찰이 필요한 현안과제 및 심화주제에 대해 연구한다. 3 3 박사
27 부동산정책연구 Research on Land and Housing Policies 부동산시장에 대한 정부의 정책에 대해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정부의 정책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3 3 박사
             
             
             

※ 비고 : 단독과정시 ‘석박사공통’, ‘박사’ 구분 기입 / 협동과정시 ‘공통’ 기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