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실용적 전문지식을 위한 광주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보건상담정책대학원

뷰티미용학과(박사)

  • 학과소개 > 일반대학원
  • 뷰티미용학과(박사)
  • 인쇄

광주대학교대학원

계약학과

  • 박사과정

뷰티미용학과

학위수여명칭 : 미용학박사
주임교수명 : 최윤경
학위수여 가능전공 : 헤어미용, 피부미용
                               메이크업, 네일미용
연구실 : 062-670-2340
교육목표

미용학은 종합예술분야로써 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 등 제 분야의 실용적인 면과 이론적인 면을 연구하는 실용학문이다. 이에 본 학과에서는 미용의 전반적인 이론과 기술을 과학적이며 체계적으로 습득하여 전문적 지식과 예술적 감각을 겸비한 미용 지도자와 미용분야의 전문 연구 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또한 정보화 및 국제화 시대를 이끌어 갈 미래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미용 산업과 교육의 발전에 기여하는 인재를 육성하고자 한다.

가. 인체의 아름다움을 위한 전문적인 미용지식의 습득
나. 미용지도자로서 갖추어야 할 종합적 능력 함양
다. 최신 미용학문의 교육을 통한 실무능력 제고
라. 실용학문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연구 인력과 교육을 위한 전문가의 양성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국가적 차원에서 뷰티산업은 높은 성장 잠재력, 고용창출효과 및 관련 산업과의 연계성 등을 감안할 때 새로운 서비스산업으로 육성될 수 있는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이‧미용, 피부미용, 네일, 메이크업 등 Beauty 서비스에 대한 국내‧외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해외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유망한 분야로서 최근 한류 등 문화 Contents와의 접목을 통해 국가브랜드의 창출이 용이하고, 의료, 관광등과의 연계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뷰티산업의 거대한 발전은 관련 전문 인력 수요의 증가를 가져오고 있으며, 각각의 뷰티 분야별 산업현장과 학문의 연계를 통한 발전을 위해 다양한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뷰티미용학과는 글로벌화 된 뷰티산업을 리더할 수 있는특화된 전문 미용전문 인력과 지도자를 양성함으로써 뷰티산업과 교육에 이바지할 것으로 전망한다.

박사과정 편성 교과목 개요(1)
박사과정 편성 교과목 개요(1)
번호 교과과목명 교과목 개요 학점 시간 비고*
국문명 영문명
1 미용생화학특론 Advanced Biochemistry 생명체를 구성하는 생화학 물질의 구조, 기능, 합성과 분해과정 및 조절기전을 학습한다. 3 3
2 미용영양학특론 Advanced Beauty Nurtition 영양소의 소화, 흡수, 체내기능, 대사과정을 이해하고, 에너지 대사과정, 세포호흡 및 세포소기관에서의 생리적 상호작용과 최근 연구 자료를 학습한다. 3 3 종합시험 교과목
3 고급통계학 Advanced Statistics 미용연구에 직접 적용 가능한 고급통계분석 방법과 결과 해석 및 결과보고서를 세미나 과정을 통해 실제 적용함으로써 분석 능력을 익힌다. 3 3
4 미용문화사특론Ⅱ Advanced Beauty Cultural History 고대, 중세, 근세, 근대,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별 사회문화적 배경, 머리장식과 복식, 신발과 장식품 등을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미용문화의 흐름을 예측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3 3
5 미생물학특론 Advanced Microbiology 미용과 관련된 미생물의 최신 논제를 선택하여 강의하고 토의한다. 3 3
6 미용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for Beauty Science 미용과 관련된 최신 연구 자료를 찾고 각각에 사용된 연구방법을 분석 및 정리함으로써 미용학을 보는 관점을 확립하고, 연구문제의 제기, 연구설계, 자료수집 및 분석, 해석을 할 수 있는 논문작성 방법을 습득한다. 3 3
7 이미지커트 연구Ⅱ Image Cut StudyⅡ 헤어커트의 종합적인 디자인 연출 능력과 이미지에 따른 디자인 적용에 대해 연구한다. 3 3
8 최신 디자인펌 연구Ⅱ New Design Perm StudyⅡ 퍼머넌트웨이브의 종합적인 디자인 연출을 탐구하고 모발 및 고객 조건에 따른 퍼머넌트웨이브의 디자인을 연구한다. 3 3
9 최신 헤어컬러링 연구Ⅱ New Hair Coloring StudyⅡ 헤어컬러링에 있어 시대별 유행하던 헤어컬러링을 연구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현재와 미래에 유행할 수 있는 컬러링 기법을 연구한다. 3 3
10 미용 세미나 Beauty Seminar 뷰티분야인 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 관련 이론 및 실무 주제를 선정, 그에 따른 전문인, 교수, 학생이 시연 및 발표를 통해 이를 탐구하고 토탈 미용인으로써의 스킬을 습득한다. 3 3
11 최신 헤어트랜드 특론Ⅱ Special Topics of New Hair TrendsⅡ 국내외 헤어트랜드의 과거와 현재를 분석하여 미래를 유추하고 헤어 전문가로써의 유행을 주도할 수 있는 감성과 스킬을 배양한다. 3 3
12 헤어미용 논문연구Ⅱ A Study of Hair PaperⅡ 관심 있는 헤어미용 및 미용분야의 관련 논문을 선정하여 문제점과 시사점을 찾아 이를 바탕으로 논문집필 및 분석 능력을 배양한다. 3 3
13 미용 글로벌 마케팅연구 Global Marketing of Beauty Science 국내외 미용환경 및 국내 프랜차이즈 미용산업체의 글로벌 진출 사례 등을 분석하여 미용시장의 현재와 미래 전략을 배양한다. 3 3
14 미용상담 및 고객관리론 Beauty Counseling and Customer Management 미용상담 스킬 및 컴플레인 대처 등 만족스런 고객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행동요건을 이해하고 기업의 고객확보와 유지를 위한 방안을 연구한다. 3 3
15 미용기업전략 및 사례연구 Business Strategics for Beauty & Case Study 국내외 미용기업의 성공과 실패사례를 분석하여 경영노하우 및 지양해야할 시사점을 찾고 경영자로써 갖추어야할 자질을 연구한다. 3 3
16 미용경영관리 특론 Advanced of Management of Beauty Business 미용산업 및 미용기업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미용기업 성장에 필요한 인사관리, 생산관리, 마케팅, 회계관리, 국제경제 등 기업경영의 전반적인 방법을 연구한다. 3 3
17 뷰티사진연구 Beauty Photography Analysis 뷰티작품을 기록하여 사진작품으로 남기기 위해 기본적인 뷰티사진촬영에 대해 익힌다. 3 3
18 피부미용트랜드 분석 Analysis of Skin care trend 피부미용에 관한 최신 트랜드와 기술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산업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새로운 피부관리 프로그램 개발 능력을 배양한다. 3 3
19 생애주기 테라피 연구 Study of Life Cycle Therapy 심신의 아름다움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생애주기에 따른 신체적, 생리적 변화를 이해하고 특징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테라피를 연구한다. 3 3
20 스파테라피 연구 Study of Spa Therapy 피부미용 영역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하이드로테라피의 유형과 프로그램을 분석해 보고 에스테틱 프로그램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3 3
21 동․서양요법 특론 Special Topics in Eastern and Western Therapy 동서양 피부 관리 수기요법의 개요 및 종류, 발달과정, 동서양수기요법의 차이점 등 기능적인 측면과 인체 적용 방법 등을 연구한다. 3 3
22 문제성 피부관리 특론 Special Topics in Troubled Skin Care 피부문제의 정의 발생원인 등에 관한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고, 에스테틱 영역에서의 관리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3 3
23 에스테틱 기기 연구 Instrument Study of Esthetic 에스테틱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기의 전기적 특성과 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적용과 활용방법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에스테틱 기기를 이용한 연구능력을 배양한다. 3 3
24 비만 및 체형관리 특론 Special toipics in Obesity and Body Shape Management 비만에 대한 과학적 해결방안의 탐구와 체성분의 구성에 대해 이해하고, 체형관리에 대한 에스테틱 현장 적용 사례를 연구한다. 3 3
25 에스테틱 논문연구 Thesis study of Esthetic 에스테틱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의 유형, 절차, 수행방법등에 대해 탐구하고, 실제 연구계획과 실행능력을 배양한다. 3 3
26 20세기 메이크업 특론 Special Topics for 20th Century Make-up History 20세기이후 현대까지를 중심으로, 사회, 문화적 배경, 예술양식 및 뷰티 흐름을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뷰티문화의 흐름을 예측하는 능력을 배양코자 한다. 3 3
27 메이크업 논문연구Ⅱ A Study of Make-up PaperⅡ 국내외 메이크업 관련 논문들을 심도있게 분석하고 발표함으로써 메이크업 연구영역을 이해하고, 학문적으로 새로운 연구 주제를 선정함으로써 박사논문을 준비할 수 있는 논문집필 능력을 기른다. 3 3
28 뷰티코디네이션 및 이미지메이킹 Beauty Coordination & Image Making 아름다움의 추구와 대인관계에 기본이 되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색 배합 및 메이크업, 의상, 액세서리 등의 연출을 통해 뷰티코디네이션을 완성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이미지 메이킹의 전략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자 한다. 3 3
29 메이크업디자인 특론 Special Topics for Make-up Design 메이크업 조형 디자인의 원리를 통해 분야별 적용 실례를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메이크업 디자인의 이론을 습득하고자 한다. 3 3
30 메이크업 작품 연구 A Study of Make-up Art 디자인 영감을 통해 창의적인 메이크업 디자인 프로세스를 습득하고, 다양한 메이크업 작품 분석과 함께 실습을 통한 개별 작품을 완성시키는 능력을 기른다. 3 3
31 네일미용 논문연구Ⅱ A Study of Nail-Art PaperⅡ 국내외 네일미용 관련 논문들을 심도있게 분석하고 발표함으로써 네일 연구영역을 이해하고, 학문적으로 새로운 연구 주제를 선정함으로써 박사논문을 준비할 수 있는 논문집필 능력을 기른다. 3 3
32 네일미용 특론 Special Topics for Nail Care 네일 미용의 기술, 정보, 트렌드 등을 이론적으로 심도 있게 파악하고, 창조적 과정을 통한 예술적 감각을 배양하는 능력을 기른다. 3 3
33 헤어 논문분석론 Hair Thesis Analysis 헤어미용 관련 연구한 주제의 독창성과 서론에 제시된 주제 및 목적이 본론을 지지하고, 단락별 주제와 소제목에서 다루는 주제의 적절성 및 주제문과 뒷받침 문장과 사례 제시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있는가를 분석하며, 주제 및 목적에 부합하는 결과의 도출까지, 전반적인 논문의 체계를 분석하고 이해한다. 3 3
34 헤어 세미나 Hair Seminar 헤어미용 최신 트랜드 관련 이론 및 실무 주제를 선정하여, 그에 따른 전문인, 교수, 학생이 시연 및 발표를 통해 이를 탐구하여 헤어미용 전문가로써의 이론 및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3 3
35 모발 및 두피진단 분석론 Diagnostic and Analysis of Hair and Cranial Muscles 모발과 두피의 구조와 형태를 이해하고, 두피와 모발의 상태를 분석하고 관리방법 등을 학습하여, 헤어미용의 물리적, 화학적 시술 등에 의한 두피와 모발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분석하여 향후 헤어미용 시장의 소재개발에 대한 능력을 배양한다. 3 3
36 메이크업&네일 예술양식 Art-forms in Make-up & Nail 미학적인 측면에서 메이크업 디자인과 네일 디자인을 접근함으로써 심도 있는 전공 교과목으로서 예술적인 개념을 확립코자 한다. 3 3
37 메이크업 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for Make-up 메이크업과 네일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연구하여 향후 질적인 논문을 완성할수 있는 연구자 개별적인 연구 방법론을 찾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3
38 이미지메이킹특론 Advanced Image Making 효과적인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방법을 습득하고, 뷰티분야에서의 효과적인 이미지메이킹 요소를 체계적으로 제시 및 연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3
39 미용통계학 Beauty Statistics 미용학 연구에서의 실증적 근거 마련을 위한 통계학 기초 지식의 습득과 논문 분석 및 작성 등 연구 활동에서의 실질적 응용 능력 함양에 목적을 둠 3 3
40 피부미용세미나 Esthetic Seminar 피부미용 산업체에서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알아보고, 학문적으로 재정립하여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발하여 연구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3 3
41 디지털뷰티디자인  Digital Beauty-Design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한 피부 메이크업, 헤어 스타일링, 네일 디자인 등을 실행, 수정으로 뷰티 토털 코디네이션 이미지를 완성하는 디지털 기법을 습득한다. 3 3
42 메이크업&네일논문연구특론Ⅱ  Advanced of Makeup&Nail StudyⅡ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메이크업&네일논문 분석 및 논문집필을 통해 좀더 심도있는 논문으로의 접근을 시도한다. 3 3
43 미용상담및고객관리론 Beauty Consultation 미용상담 스킬 및 컴플레인 대처 등 만족스런 고객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행동요건을 이해하고 기업의 고객 확보와 유지를 위한 방안을 연구한다. 3 3
44 미용제품개발특론  Advanced of Beauty Product 미용제품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이해하고, 화장품 원료와 성분, 효능에 대해 분석하여 미용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자료조사, 계획, 개발, 컨설팅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함이다. 3 3
45 뷰티디자인특론  Advanced of Beauty Design 뷰티디자인의 조형이론 중 형, 색, 장식, 소재, 문양 등 조형요소 및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고, 메이크업 및 네일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3 3
46 에스테틱 특론 Special topics in Esthetic 에스테틱 업무영역에 관련된 단계별 세부 내용을 이해하고, 다양한 관리법과 연계한 프로그램 구축 능력을 함양함으로서 에스테틱 분야 연구능력을 배양한다. 3 3
47 대중매체 헤어스타일 연구 Study of Mass media Hair Design TV, 영화, 광고, 미용잡지, 신문 등에 소개되는 헤어스타일을 연구,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최신 헤어트렌드를 정리하여, 향후 유행할 수 있는 헤어트렌드를 예측·설계할 수 있는 창조적인 능력을 배양한다. 3 3
48 모발 염색성분 및 재료 연구 Study of Constituents and Materials for Hair Coloring 염색과 탈색 시 모발의 변화와 새로운색을 창조하기 위한 화학물질의 조성, 혼합 및 새로운 원료에 대한 연구와 매커니즘을 규명하여 모발 종류에 따른 색과 모발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컬러 디자인에 대해 학습한다. 3 3
49 헤어 퍼머넌트 특론 Special Topics of Hair Permanent wave 퍼머넌트 웨이브의 원리와 퍼머넌트 용액의 기준 및 작용 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모발의 변화와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운 물질의 조성, 혼합 및 원료에 대한 연구와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모발 종류에 따른 퍼머넌트와 모발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3 3
50 피부유형 분석론 Analysis of Skin Type 주·객관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피부를 판독하고, 피부관리 화장품의 유용성평가 능력을 배양한다. 3 3
51 모발과학특론 Advanced Science of Hair 두피와 모발의 생리적, 화학적, 물리적 기능 등에 대한 이해를 갖게 하고, 관련 논문자료를 연구한다. 3 3
52 피부미용성분학 Cosmeceuticals cosmetics ingredients 화장품 성분의 심화 학습을 통해 논문작성 시 적용 가능한 후보 물질의 발굴 및 화장품 관련 산업, 화장품 관련 자격증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3 3
53 화장품최신동향 Current topics in cosmetics 뷰티 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진단하고 화장품 최신 소비자의 소비 형태를 분석하고 화장품 개발동향을 파악함으로써 고객의 미용제품 적용 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3 3
54 메이크업&네일 논문연구특론 Advanced of Makeup&Nail Research 메이크업&네일 분야의 논문트렌드를 분석하고, 향후 연구방향 설정 및 논문집필의 스킬을 습득하고자 한다. 3 3
55 색채학특론 Theory of Specail Chromatics 뷰티디자인의 중요한 요소인 색채를 중심으로, 색채의 이론 및 디자인에의 적용법등을 익히믕로서 색채전문가로서 이론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3 3
56 아트작품디자인 Art-Work Design 메이크업 및 네일 분야의 크리에이티브한 작품을 구현하기 위한 스킬을 습득하고, 실질적인 작업을 통해 작품으로서의 뷰티디자인을 완성시키고자 한다. 3 3
57 컴퓨터그그래픽 표현기법 Computer Graphic Representation Technique 뷰티디자인을 하기 위한 필수적인 컴퓨터 디자인 작업으로서, 디자인을 구상하고 표현하기 위한 디자인 시안을 구현해내는 스킬을 습득한다. 3 3
58 20세기 뷰티스타일 Beauty Style in 20th century 20세기 다양한 뷰티스타일을 시대별로 변화된 양상을 살펴보고, 사회문화적, 예술양식적 특징으로 20세기에 나타난 뷰티스타일을 분석하고, 향후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3 3
59 네일미용 논문연구 A Study of Nail-Art paper 급변하는 네일분야의 산업적인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학문적으로 네일 분야의 연구방향과 트렌드를 파악함으로써, 나아가 네일미용의 학문적 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3 3

※ 위의 사항은 학과(전공) 사정상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주임교수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