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대학교대학원
석사과정
광주대학교대학원
박사과정
광주대학교대학원
계약학과
- 석사과정
- 도시재생학과
- 박사과정
도시재생·부동산학과학과 홈페이지 바로가기
- 학위수여명칭 : 도시재생·부동산학석사
- 주임교수명 : 이명규
- 학위수여 가능전공 : 도시재생, 부동산
- 연구실 : 062-670-2449
교육목표
현대도시는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도시공간 범위의 확대, 도시 쇠퇴, 도시구조의 복잡화, 전문화 그리고 생활양식의 다양화 등의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주택, 교통, 환경문제 등은 도시에 살고 있는 시민들에게 커다란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도시재생을 촉진하기 위해 공학 및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을 습득하여 도시 및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도시는 대다수 국민들의 보금자리이며 활동의 장이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도시가 교통, 환경, 주택, 치안문제 등으로 병들어 가고 있다. 종전에 주로 토목공학이나 건축학 분야에서 단편적 개론적인 수준에서 교육, 연구되었던 도시재생․부동산이 하나의 독자적인 학문분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따라서 도시문제를 종합적으로 해결하는 의사로서 도시계획, 도시재생, 스마트시티, 교통계획, 부동산, 지리정보의 전문지식을 소유한 도시 전문가에 대한 사회적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도시계획직과 교통직은 물론 각 구청 교통전문요원으로 공채와 더불어, 한국토지공사, 대한주택공사, 대한지적공사, 도시개발공사, 한국감정원 등에서 개발타당성분석, 단지설계, 분양전략 등의 업무를 담당할 수 있다. 이밖에도 도시계획, 도시설계, 교통 등의 관련 용역회사, 건설회사의 개발사업부, 부동산컨설팅회사, 증권, 보험회사에서의 부동산관리업무 및 개발담당 업무 그리고 GIS전공을 통한 도시정보분석 및 GIS전문기업에 종사할 수 있다.
교과과정
번호 | 교과과목명 | 교과목 개요 | 학점 | 비고 | |
---|---|---|---|---|---|
국문명 | 영문명 | ||||
1 | 도시재생론 | Urban Regeneration | 도로 쇠퇴와 지방 소멸에 대응하는 도시혁신을 위한 도시재생 이론, 정책, 사업을 연구 | 3 | |
2 | 토지이용계획 특론 | Advanced Land Ise Planning | 토지의 합리적 이용과 규제에 관한 방법과 조사, 분석을 통하여 미래 토지이용패턴 예측 | 3 | |
3 | 도시지리정보체계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의 기본적인 개념과 기능 및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통한 논문작성 능력을 탐구 | 3 | |
4 | 도시 및 부동산 경제론 | Urban & Real Estate Economics | 경제학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기초경제학, 지대, 지가, 도시내부구조이론과 함께 부동산의 수요・공급, 부동산가격 형성이론에 대해 강의 | 3 | |
5 | 부동산시장분석론 | Analysis of Real Estate Markets | 부동산 시장에 대한 이론적 관점과 그 분석시 필요한 기본지식과 기술 제공 | 3 | |
6 | 교통계획이론 | Transportation Planning Theory | 도시문제의 핵심분야인 도시교통을 해결하기 위한 계획이론 및 방법론, 사례 등을 학습 | 3 | |
7 | 교통관리연구 | Studies in Transportation Management | 사람, 차량, 도로간의 합리적인 운영을 기하기 위한 교통공학적 기법을 제시 | 3 | |
8 | 도시부동산 제도론 | Urban Real Estate Study | 도시부동산제도의 변천과정과 최근의 변화내용을 구체적으로 탐구 | 3 | |
9 | 도시재생 활성화계획 특론 | Advanced Urban Regeneration Planning |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의 개념과 계획 수립을 위한 이론, 기법 및 사례 등에 관해 연구한다. | 3 | |
10 | 도시계획사 특론 | Advanced Topics of Urban Planning History | 도시의 형성과 발달에 대해 서양의 도시계획사를 중심으로 동양의 도시계획사 까지 병행 | 3 | |
11 | 지구교통계획 | Community Traffic Planning | 일상 생활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교통 안전과 주차문제, 교통시설의 복합이용. 그리고 주민참여에 이르는 종합적인 문제를 다룸 | 3 | |
12 | 대중교통 특론 | 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 도시교통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어떻게 하면 대중교통을 편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가에 대한 문제를 다룸 | 3 | |
13 | 도시공간구조 | Urban spatial organization | 도시의 발생 성장 및 쇠퇴의 과정을 고찰하여 도시의 일반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문화, 역사적인 배경 속에 도시기본구조를 학습 | 3 | |
14 | 도시계획특론 | Advanced Urban Planning | 도시계획의 이론 및 원리를 종합적으로 다루고 도시문제에 대처하는 방안 모색 | 3 | |
15 | 도시계량분석연구 | Analytical Urban Planning Study | 도시계획분야에서 과학적 자료 분석, 해석 및 표현 방법에 대한 이해와 학습 | 3 | |
16 | 도시정책 특론 | Advanced Urban Policy | 성장관리 등 새로운 도시정책, 지속가능 도시개발, 도시만들기 등에 관한 연구 | 3 | |
17 | 교통정보체계론 |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 교통정보의 수집, 처리 , 제공기법 을 소개하고, 교통체계 관리기법 강의 | 3 | |
18 | 도시정보화연구 | Urban Informatization Study | 도시공학 분야에서 정보화의 활용 방안과 GIS 등 정보체계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도시관리 방안에 대하여 연구함 | 3 | |
19 | 도시환경연구 | Urban Environment Study | 21세기의 화두인 지속가능한 개발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각의 도시환경론 정립 | 3 | |
20 | 도시체계분석론 | Urban Spatial Analysis | 서술적 계량적 도시공간에 대한 기존 연구를 탐구하고, 이를 통해 한 단계 높은 도시공간의 해석기법 통한 도시분석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 3 | |
21 | 도시계획 실무 | Urban Planning Practice | 계획의 수립이 집행까지 연계되어 계획의 효율성과 투자효과성의 계획수립 및 집행의 자료수집, 분석 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3 | |
22 | 부동산 정보분석기법 | Analysis Technique for Real Estate Information | 부동산에 관련된 필지중심의 지리정보를 구축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 3 | |
23 | 부동산학 특론 | Real Estate Study | 부동산학의 최신의 이론과 개념 및 이를 둘러싼 사회변화의 과정에 대해 탐구한다. | 3 | |
24 | 상권분석 | Market Area Analysis | 부동산과 연계하여 상권조사 및 분석방법, 소자본 창업자를 위한 상권분석의 포인트, 사례연구로서 음식점의 상권분석 기준 등을 학습 | 3 | |
25 | 교통공학특론 | Advanced Transportation Engineering | 교통의 흐름과 발생에 관한 기본법칙을 이해하고, 교통공학의 기초이론을 습득하여 교통문제 해결 | 3 | |
26 | 도시가로설계론 | Urban Street Designing | 도로설계의 기초이론과 설계지침, 설계기법, 적용상의 문제점에 대하여 강의 | 3 | |
27 | 도시구조특론 | Advanced Urban spatial Organization | 도시의 발생 성장 및 쇠퇴의 과정을 고찰 해 봄으로써 도시의 일반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문화, 역사적인 배경 속에 도시 기본구조를 시각적인 관점에서 학습 | 3 | |
28 | 도시디자인행정론 | Administration of Urban Design | 국가정책으로서의 도시디자인에 대해 정책과 행정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토록 한다. | 3 | |
29 | 경관디자인관리론 | Management of Lanscape Design | 경관과 디자인에 대해 의미와 실체를 만들어보고 삶의 질을 추구하는 목표로서의 경관디자인 관리에 대해 연구토록 한다. | 3 | |
30 | 도시재생리빙랩2 | Urban Regeneration Living Lab 2 | 도시재생리빙랩의 개념 및 내용에 대해 공부를 한 후 운영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팀별 또는 프로젝트별 리빙랩의 운영에 대하여 직접 체험하면서 공부토록 한다. | 3 | |
31 | 도시재생리빙랩3 | Urban Regeneration Living Lab 3 | 도시재생리빙랩의 개념 및 내용에 대해 공부를 한 후 운영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팀별 또는 프로젝트별 리빙랩의 운영에 대하여 직접 체험하면서 공부토록 한다. | 3 | |
32 | 부동산개발사례연구 | Real Estate Development Case Study | 부동산개발의 대표적인 사례에 대하여 그 특징, 사업내용 그리고 시사점에 대하여 연구토록하며 또한 외국의 부동산개발 사례에 대하여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 3 | |
33 | 부동산관련공법특론 | Advanced Real Estate Relation Public Law | 부동산 관련 공법에 대하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다양한 공법 등에 대하여 그 법률의 특징 및 주요 내용에 대하여 공부토록 한다. | 3 | |
34 | 부동산디벨로퍼개론 | Introduction to Real Estate Development | 부동산디벨로퍼의 개념, 주요 특징 및 사업내용 등을 살펴보며 다른 한편 관련 법규에 대해서도 공부토록 한다. 또한 외국의 부동산디벨로퍼의 개발 사례 및 트래드에 대해서도 공부토록 한다. | 3 | |
35 | 부동산공법세미나 | Real Estate Public Law Seminar | 부동산개발과 투자에 영향을 주는 각종 공법의 체계와 규제내용을 연구한다. 주요내용은 부동산공법의 구성체계 및 국토이용계획 총설,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상하위 계획의 내용 및 수립절차, 행위제한 및 허가의 절차)부동산가격 안정화정책의 공법적 이해(정책변동에 따른 공법 개정내용 비교 및 이해) 등을 포함한다. | 3 | 논문대체 |
36 | 부동산권리분석론 | Real Estate Rights Analysis Theory | 부동산 권리분석이란 해당 부동산에 관련된 여러 권리에 대한 분석으로 등기사항증명서상의 권리뿐만 아니라 등기사항증명서 이외의 권리 등을 분석하는 것부터 시작하게 된다. 본 과목을 통해 등기사항증명서상에 기재되는 권리 뿐만 아니라 임차인의 권리, 법정지상권, 유치권, 특수문제 등에 대해 학습하고자 한다. | 3 | 전공, 논문대체 |
37 | 재4차산업과부동산 | The 4th Industry and Real Estate | 4차산업 시대의 도래로 부동산(Property)과 기술(Technology)이 융복합되어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프롭테크(PropTech)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관련분야의 국내외 연구경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기반을 다진다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