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실용적 전문지식을 위한 광주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보건상담정책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 학과소개 > 일반대학원
  • 문화콘텐츠학과
  • 인쇄

광주대학교대학원

계약학과

  • 박사과정

문화콘텐츠학과

학위수여명칭 : 문화석사
주임교수명 : 조대연
학위수여 가능전공 : 문화콘텐츠
연구실 : 062-670-2670
교육목표

  창의적인 문화콘텐츠 관련 기술의 습득을 통해 4차 산업 혁명에 따른 지역의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가진 콘텐츠의 생산자를 양성한다. 글로벌한 상상력을 기반으로 유기적으로 결합된 테크놀로지와 문화를 접목시켜 고부가가치의 콘텐츠를 생산하고 이를 매개로 지역 문화 예술의 가치를 상승 시킬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한다.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현대 지식 사회의 중요한 영역인 영상, 예술, 그리고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테크놀로지가 융합된 미디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프로젝트 중심의 수업으로 미래 지향적인 전문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학과이다. 본 학과는 문화 이론을 바탕으로 21세기에 새롭게 사용되는 콘텐츠 생산 기술을 접목하는 교육을 목표로 한다. 문화예술을 산업과 결부시켜 이론적 지식을 통한 관련 테크놀로지의 습득, 운용 능력을 개발하여 새로운 시대에 맞는 콘텐츠 생산자를 양성하는데 학과의 특성이 있다. 콘텐츠 생산자의 능력에 인문학적 지식을 갖춘 전공자는 지역의 문화에 특수성을 가진 융합미디어 전문가로서 문화중심도시의 위상에 맞는 인력으로 교육된다.

교과과정(1)
교과과정(1)
번호 교과과목명 교과목 개요 학점 시간
국문명 영문명
1 문화콘텐츠학 Cultural Contents Studies 이 교과목은 문화콘텐츠의 전체적인 개념을 정리하고 현대 사회에 소통되는 새로운 동향을 이해하여 콘텐츠 제작의 방향을 설정하는 과목이다. 미디어의 발전에 따른 수요자 중심의 콘텐츠 제작 방향을 알아본다. 3 3
2 영상프로덕션 Motiongraphy Production 본 교과목은 영화, 광고, 다큐멘터리 등 영상의 기획에 대한 이해, 촬영 방법, 실습을 위주로 한 프로덕션 제작 과목이다 3 3
3 디지털미디어아트 Digital Media Art 미디어와 아트의 융합적 기술을 습득하는 수업으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는 예술을 가치를 영상을 통해 구현하는 미디어아트 기초 과목이다 3 3
4 미디어아트융합 Media Art Convergence 21세기 첨단 융합적 미디어 기술을 예술과 결합하여 미디어아트 사례를 분석하고 문화 원형을 기반으로 생산된 미디어 아트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목이다 3 3
5 VR영상테크닉 VRmedia Technic 디지털 매체의 응용 매체인 VR은 인간의 시지각 한계를 넘나드는 미디어이다. 각 테크놀로지의 경계를 혼합할 수 있는 VR영상 제작을 통하여 21세기형 전시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3 3
6 VR특수편집 VR Unique Editing VR편집 과목은 360도라는 기술의 특성을 활용하여 인간의 시각성을 실험하고 매체의 특성을 분석, 다양한 미디어를 혼합하는 편집 테크닉을 가르는 과목이다 3 3
7 드론촬영실습 Drone Shooting Practice 뉴미디어인 드론 촬영의 기본을 습득하는 과목으로 드론의 구조와 촬영 조건, 다양한 환경에서의 안전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촬영자의 퍼포먼스를 실습한다. 3 3
8 항공드론테크닉 Aerial Drone Technic 드론은 현대 미디어에서 빼놓을 수 없는 촬영 기법중의 하나이다. 4K, 6K 촬영 시대에 맞는 영상의 촬영과 항공VR촬영, 3D스캐닝 드론 활용 기술 등 다양한 접근으로 항공촬영 실습을 진행한다. 3 3
교과과정(2)
교과과정(2)
번호 교과과목명 교과목 개요 학점 시간
국문명 영문명
9 3D스캐닝 3D Scanning 3차원 3D스캐닝 기법의 응용 가능성에 대한 탐구, 기존 스캐닝 기법을 활용한 문화원형 콘텐츠의 제작 시안을 탐색한다. 3D스캐닝 기법을 활용한 다양한 문화콘텐츠 제작 방식에 대한 가능성을 찾아보고 실습을 진행하는 과목이다 3 3
10 3D스캐닝과콘텐츠 3D Scanning & Contents 3D스캐닝 기법은 현대미디어 산업에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여겨진다. 다수의 영상 데이터로 얻어진 3차원 정보를 편집툴을 활용하여 콘텐츠에 사용될 수 있는 가공 과정을 습득하며 최종 결과물에 대한 기술적 적용 방법을 학습한다. 3 3
11 AI와 문화콘텐츠 AI & Culture Contents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콘텐츠가 제작되는 동향을 분석하고 기개발된 AI테크놀러지의 최신 기법을 분석하여 빅데이터와 AI기술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고찰한다. 3 3
12 콘텐츠기획세미나 Contents Planning Seminar 최근 관심이 커지고 있는 콘텐츠의 미학적 특성에 대해서 학습하고 어떤 과정을 거쳐 콘텐츠가 기획되는지 알아본다. 실제 콘텐츠의 기획 실습으로 콘텐츠의 인문학적 완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과목이다 3 3
13 석사과정세미나 Master Degree Seminar 논문에 사용될 수 있는 작품의 제작 과목으로 지도교수와 작품에 대하여 세미나를 진행한다. 3 3
14 지역콘텐츠기획 Regional Content Planning 지역의 특수성에 따른 콘텐츠를 기획하는 아이디어 창출 과목으로 지역에 대한 관심과 미적 경험을 콘텐츠의 제작에 활용하는 수업이다. 3 3
15 전시디지털프로덕션 Exhibition Digital Production 디지털 전시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모든 미디어에 대하여 습득할 수 있는 과목으로 디지털 전시 기획에서의 중요한 요소와 표현 방법에 대하여 습득하는 과목이다.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