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대학교대학원
석사과정
광주대학교대학원
박사과정
광주대학교대학원
계약학과
- 석사과정
- 도시재생학과
- 박사과정
미래융합기술공학과
- 학위수여명칭 : 공학석사
- 주임교수명 : 최재혁
- 학위수여 가능전공 : 에너지융합, 기계자동차융합
- 연구실 : 062-670-2947
교육목표
미래융합기술공학과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ICT 기술 기반의 학문간 융합을 통해 전기에너지 효율화, 전기기기 안전 및 시험인증, 지능형 모빌리티, 첨단 부품소재 등과 같은 전문 지식을 탐구하고 연구함으로써, 에너지신산업과 첨단운송기기 분야 고급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특성: 전공 분야는 에너지융합전공과 기계자동차융합전공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분야별로 해당 분야 기업과 연계된 실습실과 연구실이 구축되어 기업에서 요구하는 애로기술 연구개발 환경을 갖추고 있다. 또한 ICT 기술 기반 학문간 융합을 통해 산업계에서 필요한 융합 인재 양성이 가능하다. 전망: 광주전남은 에너지신산업과 미래형운송기기 분야를 미래의 핵심분야로 선정하여 관련 인력 양성 및 산업 고도화를 위해 지속적인 재정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따라서 본 전공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은 전공 분야에 고급인력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을 것으로 기대된다.
교과과정(에너지융합전공)
번호 | 교과과목명 | 교과목 개요 | 학점 | 시간 | |
---|---|---|---|---|---|
국문명 | 영문명 | ||||
1 | 인턴쉽 | Internship | 본 강좌에서는 산업체 연구 현장에서 실무 및 현장 기술을 배우고 습득하여 실무적응 능력을 키우고 기 업 현실의 이해도를 높이도록 한다. 학교의 지도교수와 기업체 담당자 간의 협의된 업무를 수행한다. | 3 | 3 |
2 | 엔지니어의리더십 | Engineer’s Leadership | 엔지니어가 CEO/CTO 등 지도자로 성장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소양과 덕목을, 대인관계 개선방법, 자기표현 skill, 문제해결 방법 등에 초점을 맞추어 강의한다. | 3 | 3 |
3 | 논문작성법 | Technical writing | 대학원생들에게 연구 논문을 작성하는 기법을 학습하도록 한다. | 3 | 3 |
4 | 논문발표기법 | Technical presentation | 대학원생들에게 연구 주제 발표하는 기법을 학습하도록 한다 | 3 | 3 |
5 | 글쓰기와 연구윤리 | Technical writing & research ethics | 과학기술 관련 글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쓰는데 필요한 핵심 요소들을 공부한다. 담당교수는 학생들이 수정·교정·교열 을 통해 자신이 쓴 글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아울러 연구윤리의 일반적인 쟁점들을 개괄하고, 윤리적 글쓰기에 대해 숙고한다 | 3 | 3 |
6 | 융합기술 세미나 | Seminar | 에너지신산업과 미래형운송기기 관련 최첨단 학술이론 및 응용 분야에 대한 세미나 | 3 | 3 |
7 | 전기에너지시스템특론 | Advanced Topics of Electric Energy System |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전기에너지 시스템 신기술의 실제 적용 사례 분석을 통해 에너지 시스템 계획 및 운용 능력을 향상시킨다 | 3 | 3 |
8 | 전력시장 | Electricity Market Economics | 국내외 경쟁적 전력시장을 비교 분석하고, 전력시장 해석에 필 요한 경제이론과 실제 전력시장에 적용 할 수 있는 기법들을 다룬다 | 3 | 3 |
9 | 에너지변환론 | Electromechanical Energy Conversion | 전자 및 전동 에너지 변환 이론, 직류기, 유도기, 동기기 등의 동특성 및 모델링, AC 기기 및 전력전 자 컨버터의 dq변환에 대한 이론을 학습한다 | 3 | 3 |
10 | 전력변환회로 | Power Conversion Circuits | 전기 에너지 변환 시스템과 구성요소 - 전력용 소자, 정류기, 인버터, AC-AC 컨버터, DC-DC 컨버 터에 대한 이론을 학습한다 | 3 | 3 |
11 | 전기전자계측특론 | Instrumentology | 각종 계측기와 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한 계측기술의 원리와 실제를 배우고 데이타 처리방법에 대해서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 3 | 3 |
12 | IT에너지융합특론 | Topics in IT Convergence | IT융합 특론은 다양한 IT 융합기술에 대한 소개와 관련 기반 기술에 대한 이해를 위한 과목으로 IT융합의 원동력이 되는 차세대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술, 친환경시스템 설계 (Green IT), 등 실제 사례에 대해 학습한다 | 3 | 3 |
13 | 전기기기특론 | Advanced Electric Machines Theory | AC 전동기의 설계 및 해석, DC 및 AC 전동기의 보호, 상태 및 고장 진단 방법을 학습한다 | 3 | 3 |
14 | IOT특론 | Topics in Internet of Things | 사물인터넷, 지능형 사물인터넷, ICBM 융합 인프라를 통한 스마트그리드 중심의 사물인터넷 서비스에 대해 학습한다. | 3 | 3 |
15 | IOT네트워크특론 | Topics in IOT Networks | 스마트그리드 등 IOT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OT 네트워크 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 3 | 3 |
16 | 스마트그리드보안특론 | Topics in Smart Grid Security | 스마트 그리드, 에너지모빌리티 등 IOT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CBM 융합 인프라 기반 보안 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 3 | 3 |
17 | 스마트그리드 빅데이터 분석 | Big Data Analysis for Smart Grid | 스마트그리드 산업 전반에 걸친 기계 학습과 지능형 분석에 대한 이론과 연구동향을 학습한다. | 3 | 3 |
18 | 스마트그리드 분석을 위한 분산병렬 컴퓨팅 | Distributed and Parallel Computing for Smart Grid Analysis |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를 동시에 연산하도록 하는 분산병렬 처리를 위한 컴퓨터 아키텍처와 하둡, 스파크 등 SW 플랫폼에 대해 학습한다. | 3 | 3 |
19 | 스마트그리드 분석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 AI Algorithm for Smart Grid Analysis | 스마트그리드의 효율성 향상과 안전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활용방법을 학습한다. | 3 | 3 |
교과과정(기계자동차융합전공)
번호 | 교과과목명 | 교과목 개요 | 학점 | 시간 | |
---|---|---|---|---|---|
국문명 | 영문명 | ||||
1 | 인턴쉽 | Internship | 본 강좌에서는 산업체 연구 현장에서 실무 및 현장 기술을 배우고 습득하여 실무적응 능력을 키우고 기 업 현실의 이해도를 높이도록 한다. 학교의 지도교수와 기업체 담당자 간의 협의된 업무를 수행한다. | 3 | 3 |
2 | 엔지니어의리더십 | Engineer’s Leadership | 엔지니어가 CEO/CTO 등 지도자로 성장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소양과 덕목을, 대인관계 개선방법, 자기표현 skill, 문제해결 방법 등에 초점을 맞추어 강의한다. | 3 | 3 |
3 | 논문작성법 | Technical writing | 대학원생들에게 연구 논문을 작성하는 기법을 학습하도록 한다. | 3 | 3 |
4 | 논문발표기법 | Technical presentation | 대학원생들에게 연구 주제 발표하는 기법을 학습하도록 한다 | 3 | 3 |
5 | 글쓰기와 연구윤리 | Technical writing & research ethics | 과학기술 관련 글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쓰는데 필요한 핵심 요소들을 공부한다. 담당교수는 학생들이 수정·교정·교열 을 통해 자신이 쓴 글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아울러 연구윤리의 일반적인 쟁점들을 개괄하고, 윤리적 글쓰기에 대해 숙고한다 | 3 | 3 |
6 | 융합기술 세미나 | Seminar | 에너지신산업과 미래형운송기기 관련 최첨단 학술이론 및 응용 분야에 대한 세미나 | 3 | 3 |
7 | 응용수학특론 | Advanced Applied Mathematics | 기계의 역학적인 설계 및 해석에 필수적인 선형대수와 선형해석 지식을 습득하고, 수학적 표현이 역학에서 활용되는 사례에 대해서 학습한다. | 3 | 3 |
8 | 열전달특론 | Advanced Heat Transfer | 열전달의 기구, 법칙 및 해석방법에 대하여 학습하며 열 관련 기기를 이해하고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3 | 3 |
9 | MEMS특론 | MEMS | 기초적인 반도체 집적회로 공정기술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MEMS 공정기술과 이론을 학습한다. | 3 | 3 |
10 | 적층제조공학특론 | Advanced Additive Manufacturing Engineering | 적층제조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료를 쌓아서 3D 구조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적층 제조 소개 및 방법, 활용 분야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 3 | 3 |
11 | 유한요소해석특론 | Advanced Finite Element Method | 유한요소법에 대한 기초 이론 및 유한요소해석 상용프로그램의 사용법을 학습하여 공학 문제 분석과 해결 능력을 배양한다. | 3 | 3 |
12 | 재료분석특론 | Advanced Material Characterization | 금속, 세라믹 그리고 폴리머 등과 같은 재료들을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고 미세조직을 분석하는 기법들을 학습한다. | 3 | 3 |
13 | 유변학 | Rheology | 고분자 재료의 유변학적 거동을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3 | 3 |
14 | 금형설계특론 | Advanced Injection Mold Design | 이론적 원리에 따른 금형설계 실습 및 제작을 통하여 원칙에 근거한 사출금형을 설계하는 실무능력을 학습한다. | 3 | 3 |
15 | 최적사출성형해석 | Optimum Design for Injection Molding Anlaysis | 최적설계 기법을 적용한 사출성형 해석 과정을 학습한다. | 3 | 3 |
16 | 차량구조최적설계 | Vehicle Structural and Optimal Design | 자동차구조의 강도, 진동, 내구도에 대한 최적설계에 대한 실제 설계사례 중심의 최적화기법을 학습한다. | 3 | 3 |
17 | 전동기설계특론 | Advanced design of motor | 전기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기기로써의 전기 모터의 종류와 원리 및 설계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 3 | 3 |
18 | 전자기학특론 | Advanced Electromagnetics | Maxwell의 전자기학 방정식과, 이 개념들이 물질의 전자기학 현상을 설명하는 데 어떻게 응용되는지 탐구한다. | 3 | 3 |
19 | 수치해석특론 | Advanced Numerical Analysis | 공학문제를 Computer에 의해 해석하기 위해 각종 수식의 풀이법과 그 오차의 크기를 분석하며, 수식의 근을 찾는법, 선형연립방정식 Curve Fitting, 상미분방정식 및 편미분방정식 등의 고급해석법을 다룬다. | 3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