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실용적 전문지식을 위한 광주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보건상담정책대학원

호텔관광경영학과

  • 학과소개 > 일반대학원
  • 호텔관광경영학과
  • 인쇄

광주대학교대학원

계약학과

  • 박사과정

호텔관광경영학과

학위수여명칭 : 호텔관광경영학석사
주임교수명 : 김정훈
학위수여 가능전공 : 호텔관광경영
연구실 : 062-670-2371
교육목표

  호텔관광경영학과는 호텔관광사업 전문경영인, 호텔관광연구 전문인력, 호텔관광학계 교육자, 지역관광 전문인력 등의 창의적 호텔관광전문인력 양성을 교육의 궁극적 목표로 한다. 이와 같은 호텔관광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관광산업체의 경영 전반에 대한 관광이론 탐구와 실무분석능력 배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하였다. 또한 국내ㆍ외의 호텔관광관련 선행연구와 현황을 분석하고, 창의적이고 실천적인 리더십교육을 병행한다.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호텔관광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21세기 유망산업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더불어 국가이미지 제고 및 지속가능한 녹색산업으로 문화유산과 생태계 보전에도 이바지하고 있다. 이러한 호텔관광산업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전세계 각 국가는 호텔관광산업을 가장 중요한 국책산업으로 진흥시키고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호텔관광경영학 교육과정은 학계 및 관광산업 전 분야에서 요구하는 관광전문인 양성에 중심을 두고 있다. 졸업 후에는 호텔 등의 관광숙박업, 여행업, 항공업, 국제회의업, 관광객이용시설업, 관광편의시설업, 관광컨설팅, 관광공사 및 관광관련 공무원, 관광연구원 등 다양한 방면으로 진출할 수 있으며, 그 선택의 폭은 나날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교과과정
교과과정
번호 교과과목명 교과목 개요 학점 시간
국문명 영문명
1 호텔경영연구 Study on hotel Management 호텔경영의 이론과 실무에 대해 다양하게 접근하여 호텔 창업, 호텔상품 개발, 호텔 마케팅 등 호텔경영 전반에 대하여 연구한다. 3 3
2 리조트경영세미나 Seminar on Resort Management 리조트사업의 국내・외 경영 방법론을 이론과 사업의 각 분야별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분석 접근한다. 3 3
3 관광기업인사관리론 Seminar on HRM in Tourism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관광산업체의 인적자원관리 전략에 대하여 연구한다. 3 3
4 국제회의산업특강 Seminar on Convention Operation 국제회의 기획과 실무적 차원의 이벤트 개최, 적합성 분석, 마케팅 관리 등 국제회의 운영에 필요한 이론과 실무를 연구한다. 3 3
5 호스피탈리티정책세미나 Seminar in Hospitality Policy 환대산업의 정책수립과정, 집행, 평가에 관하여 고찰하고,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하여 환경변화에 부합한 바람직한 환대산업 정책방향을 연구한다. 3 3
6 MICE산업세미나 Seminar for the MICE Industry 지속적인 사회적, 경제적 파급효과를 유발하는 미래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MICE산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모색하며, 국제회의, 전시, 연회 상품개발에 대한 전문지식, 행사의 개최, 진행을 위한 기획력을 함양한다. 3 3
7 리조트계획개발론 Resort Planning & Development 리조트 개발을 위한 타당성 조사, 개발프로그램, 유형별 구성원칙과 개발의 특성요소, 관리프로그램, 사업전략 등을 연구 분석하고, 클럽의 형태, 종류, 관리기법 등에 대해서 연구한다. 3 3
8 관광통계연구 Tourism Statistics Analysis 관광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통계분석방법 연구를 통하여 관광자, 관광산업, 관광개발 등에 관련된 통계처리 절차 및 적용에 관하여 연구한다. 3 3
9 관광자행동론특강 Behavioral Science of Tourism 관광의 주체인 관광객의 구매 행동원리를 학습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다. 관광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요인과, 관광객의 행동을 과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에 대응하는 대책 수립능력을 배양한다. 3 3
10 관광프로젝트 관리 Tourism Project Management 관광관련 산업 및 지역관광개발 등의 관관 전반의 사업계획과 실시절차에 관한 관리방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3 3
11 호텔인력개발연구 Development of Hotel Human Resource 인적자원관리, 인사정책, 인사환경, 직무분석, 교육훈련, 임금과 복리후생, 인간관계, 노사관계와 정부규제 등을 연구한다. 특히 인적자원을 바탕으로 하는 호텔산업의 인사관리가 갖는 제 문제를 심도 있게 연구한다. 3 3
12 환대산업소비자행동 특강 Behavioral Science of Hospitality Industry 환대산업 소비자의 구매 행동원리를 이해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다. 환대산업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요인을 체계적으로 학습함으로써 그에 대응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3 3
13 이벤트산업연구 Research for the Event Industry 이벤트의 실시 동향, 실시 전략, 기획, 실행절차, 스폰서, 효과측정, 평가, 성공과 실패요인 등 학습하고, 국내외 사례를 통해 지역 이벤트의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한다. 3 3
14 4차산업시대의 관광트렌드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urism trends 4차 산업혁명시대에 문화․관광분야 변화에 관한 진단과 전망을 토대로 4차 산업혁명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문화․관광산업의 정책방향을 연구한다. 3 3
15 관광마케팅 Tourism Marketing 관광지 및 관광관련 산업 전반에 대한 실증적 마케팅조사방법론을 연구한다. 3 3
16 여행업경영특강 Travel Agency Management 여행업 경영관리와 이에 관련된 거시적·미시적 환경과의 상호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여행업의 합리적 경영방법과 이에 따른 다방면의 이론적 접근 방법을 연구한다. 3 3
17 관광상품기획론 Planning of Tourism Products 관광상품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연구를 통하여 관광상품 개발과정 및 기획 전반에 대한 내용을 연구한다. 3 3
18 웨딩ㆍ이벤트산업경영론 Wedding and Event Management 웨딩산업 및 국내외의 다양한 이벤트에 대하여 이론과 실무를 연구한다. 3 3
19 관광과여가 Tourism and Leisure 관광산업 발전에 따른 여가문화 및 여가산업 전반에 대한 고찰을 통해 관광과 여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3 3
20 의료관광 Health Care Tourism 국내외 의료서비스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하여 거시적 차원의 연구을 진행한다. 3 3

※ 위의 사항은 학과(전공) 사정상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주임교수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