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실용적 전문지식을 위한 광주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보건상담정책대학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학과소개
  •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인쇄

사회복지학과

석사과정
학위수여명칭 : 사회복지학석사
주임교수명 :이용교
학위수여 가능전공 :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실천방법
연구실 : 062-670-2458
박사과정
학위수여명칭 : 사회복지학박사
주임교수명 : 이용교
학위수여 가능전공 : 사회복지정책·행정, 정신보건·의료복지
                                -노인·가족복지, 아동·청소년복지
                               - 재활·장애인복지
연구실 : 062-670-2458
교육목표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은 사회복지의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함양한 사회복지 실천가, 사회복지의 보편적 가치와 윤리에 투철한 사회복지 지도자, 사회복지의 이론적 발전과 교육에 헌신하는 사회복지 연구자를 양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교육목표를 갖는다.

민주적, 도덕적, 윤리적, 책임성 있는 실천정신을 기반으로 사회복지의 가치를 통합하고 실현하는 능력이 있는 복지인을 양성한다.
인간에 대해 폭넓은 이해를 위한 지식과 이론을 습득하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함양하여 실천적 개입방법을 습득/개발함으로써, 복지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자질 있는 실천가를 양성한다.
개인, 가족, 집단, 조직, 정책과 제도적 체계들에 적용되어지는 서비스를 연구조사/개발/제공/평가할 수 있는 종합적 능력인을 배양한다. 사회복지 지식을 증진시키는 연구조사 능력의 배양은 물론 사회복지 정책 및 행정에 대한 업무분석과 사회복지기관, 시설, 사회복지사의 실무에 대한 과학적인 평가능력을 육성한다.
사회복지 관련이론, 실천방법, 기획능력, 교육능력, 행정능력, 조사기술능력 등을 갖춘 지도자와 끊임없는 탐구정신을 지닌 고급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동시에 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과학적인 지식과 기술을 다양한 분야에 효율적으로 적용하는 실천능력을 배양하여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의 사회적 책임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자질을 함양한다.
전공의 특성 및 전망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은 호남지역에서 유일한 ‘사회복지전문대학원’으로 박사과정과정과 석사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은 사회복지학에 대한 심화 학습 과정, 사회복지사 자격증의 취득 과정, 건강가정사의 취득 과정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사회복지전문대학원의 전임교수를 포함하여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의 전임교수진이 대학원 강의를 함께 하여 전공 교수진의 인력이 매우 풍부하다. 사회복지학을 이론적으로 가르칠 뿐만 아니라 현장과 연계하여 현장실습, 라운드테이블, 복지아카데미 등을 통해서 광주지역 사회복지학풍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박사과정의 특성 및 전망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은 호남지역에서 사회복지학 박사과정 중 우수한 교수진을 확보한 가장 경쟁력이 높은 대학원으로 인정을 받아서, 매년 높은 입학 경쟁률을 유지하고 있다.
재학생의 다수가 광주, 전남, 전북지역의 대학교 전임교수이거나 겸임교수, 시간강사 등 교수 요원으로 활동하고, 재학생과 졸업생은 한국사회복지학회 등 학술단체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최근 사회복지시설/기관/단체에서 일하는 중견 사회복지사들이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취득하려는 욕구가 매우 강하기 때문에 향후 몇 년 동안 박사과정에 대한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보인다.

석사과정의 특성 및 전망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은 학부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대학원생에게 심화과정을 가르칠 뿐만 아니라, 가족복지학을 포함하여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광주, 전남, 전북, 제주지역의 사회복지현장에서 일하는 중견 사회복지사들이 다수 재학하고 있기에 대학원생 상호간의 정보교류와 네트워크 형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석사과정은 학위논문 집필을 통한 학위취득과 대체과목 이수를 통한 학위취득으로 나뉘어져 있어서 대학원생은 욕구에 따라 졸업할 수 있다.

교과과정
교과과정
번호 교과과목명 교과목 개요 학점 시간
국문명 영문명
1 사회복지개론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사회복지학을 학습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과목으로서, 사회복지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학습하여 사회복지사회의 구현에 기여하도록 한다. 3 3
2 사회복지실천론 Theories of Social Work Practice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성에 대한 이해와 이러한 전문성을 뒷받침하는 주요 사회복지실천이론을 학습한다. 3 3
3 인간행동과사회환경 Human Behavior and the Social Environment 인간의 성장발달과 변화에 관한 다양한 이론을 소개 하고 개인발달에 영향을 주는 생물학적, 심리학적,사회문화적 요인들을 사회환경적 관점에서 파악한다. 3 3
4 사회복지현장실습 Social Work Practicum 학교교육에서 습득한 개념, 이론, 그리고 개입모델과 방법론적인 기술을 사회복지현장에 적용, 실천하게 함으로써 이론과 실제를 결합시키는 체험교육과정이다. 3 3
5 사회복지조사론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elfare 사회복지조사연구를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과목으로서, 과학적인 사회복지조사연구에 필요한 전반적인 개요를 다룬다. 사회복지연구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고 주요 개념과 기법을 익힘으로써, 사회복지조사연구 결과에 대한 소비자로서, 나아가 사회복지조사연구를 설계하고 수행할 수 있는 연구자로서 기본 소양을 갖추도록 한다. 3 3
6 사회복지정책론 Social Welfare Policy 사회문제 인식 및 분석능력을 기르고 사회복지정책의 개념과 배경, 이론과 방법, 형태와 내용 등을 연구한다. 3 3
7 사회복지행정론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사회복지활동에 관련되는 조직, 조직관리, 행정이론,행정과정과 행정기술의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형성된다. 3 3
8 지역사회복지론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사회복지실천의 장과 실천주체로서 지역사회, 지역사회 분석을 위한 이론틀,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의미와 발달과정, 지역사회실천의 모형 그리고 원칙과 과정,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학습한다. 3 3
9 사회문제론 Social Problems 급격한 사회변화, 특히 현대사회의 특징인 디지털 정보화생활환경에서 야기되는 다양한 사회문제의원인과 실태를 고찰하고 사회복지학적 접근을 통한 해결방법을 모색하고 실천하는 연습이다. 3 3
10 가족복지론 Social Work with Families 현대사회에서 새롭게 나타나는 가족의 구조, 기능, 관계, 문제 등을 분석하여 가족개념의 재정립과 가족의 본질, 기능 및 역할 변화의 원인을 이해한다. 3 3
11 노인복지실천방법론 Social Work with Older People 전문적인 노인복지실천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노인과 그 가족의 욕구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사회복지실천방법을 학습한다. 3 3
12 사회복지실천기술론 Skills and Techniques for Social Work Practice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문사회복지사가 숙지해야 하는 실천모델, 기술, 기법을 터득한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주어진 상황에 알맞은 다양한 개입방법을 선택하고 전문지식과 기술을 적용하도록 훈련한다. 3 3
13 사회복지자료분석론 Data Analysis for Social Welfare 사회복지조사론을 수강한 후, 사회복지 자료분석에 필요한 수학적 개념과 통계적 방법의 기본원리를 이해함으로써 과학적인 사회조사의 기틀을 준비한다. 3 3
14 사례관리론 Case Management 장기적인 보호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의 재가서비스를 중심으로 서비스의 지속성과 통합성, 효율성과 효과성을 배경으로 등장한 사례관리의 발달과정, 필요성, 기본구조, 기능과 역할에 대해서 살펴본다. 3 3
15 학위논문 Dissertation 사회복지학 논문을 읽고 비판적으로 논찬할 능력을 갖추며 학위논문(석사/박사학위논문)을 쓸 능력을 갖추며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하고 발표할 능력을 갖춘다. 3 3
16 가족상담과 치료 Family Counseling and Therapy 가족치료의 기본이론과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통합적인 가족치료의 모형개발과 다양한 치료기법의 습득을 학습목표로 한다. 3 3
17 장애인의 성과 결혼 Sexuality and Marriage of the Disabled 인간의 성에 대한 생리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기초이론을 고찰하고, 장애인의 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실천모델을 연구한다. 3 3
18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Social Welfare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사회복지프로그램 작성, 평가척도, 수집된 자료의 분석, 보고서 작성 등의 전체적인 과정을 실습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에 대한 이해정도를 높여 실제로 활용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프로그램평가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평가의 윤리성 문제를 기본적으로 이해한다. 욕구사정을 기반으로 평가의 질적 방법, 형성, 과정, 총괄, 단일사례조사설계, 목표달성척도, C't만족, 집단조사설계, 비용-효과 비용분석설계를 정리한다. 측정도구와 전략, 도구제시와 개발의 예를 연습한다. 과정상의 실질적 이슈와 평가자료, 평가보고서 활용을 논의한다. 또한 선택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된 자료를 통계프로그램(SPSS)으로 분석, 해석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실습하고 실제에 적용능력을 기른다. 3 3
19 가족생활과 교육 Family Life Education 가족생활교육에 대해서 이해하고, 가족생활교육사의 역할에 대해서 배우며 가족생활교육에서 다루는 다양한 내용을 이해하고 최근 자료를 모으며 프로그램의 작성 실시, 평가에 대해서 다룬다. 3 3
20 질적연구방법론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질적 연구 논문에 관한 기초적인 학습을 통하여 질적 연구방법과 논문에 대하여 고찰해 본다. 3 3
21 가족과 젠더 Family and Gender 상반기 6개의 주제와 하반기 6개의 주제를 소개하되 연관시켜서 소개하여 수업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며 가족과 관련된 사람들의 삶이 성별 곧 젠더와 아주 깊이 연관 되어있다는 점을 배우고 생각한다. 3 3
22 노인복지론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새롭게 대두되는 저출산 고령사회의 노인케어문제와 대응전략을 다룬다.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과 이로 인한 제 문제를 검토하면서 노인장기요양문제를 강의의 핵심주제로 한다. 3 3
23 노인복지세미나 Ⅱ Seminar on Social Welfare with the Aged Ⅱ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영향을 준 일본개호보험제도의 도입배경, 내용, 과제 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진행내용을 분석하여 발전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3 3
24 사회복지와 인권 Social Welfare and Human Rights 사회복지와 인권의 의미를 알고, 인권에 부합하는 사회복지실천방법을 학습하며 세계인권선언, 유엔인권헌장, 유엔아동권리협약 등 인권에 대한 국제적 동향을 이해한다. 3 3
25 시민사회와 사회복지 Civil Society and Social Welfare 시민사회의 의미와 시민사회단체의 영역별 내용 학습을 통하여 이를 시민사회복지에 접목시켜 본다. 3 3
26 사회복지서비스전달론 Social Service Delivery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가 사회복지실천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게 될지 검토하며 학생들이 사회복지서비스 전달과 관련된 검증된 국내논문들을 읽고 사회복지 서비스전달과 관련된 주요 쟁점들에 대해서 논의하고 분석한다. 3 3
27 가족과 문화 Family in Culture 가족과 관련한 각종 사회복지정책에 대해 고찰하고, 한국이 갖고 있는 복지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3 3
28 노인문제와 위기 개입 The Problem of Older People and Crisis Intervention 치매노인 보호, 노인학대, 노인우울증과 자살 등 위기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사회복지적 개입방법을 학습한다. 특히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개입방법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둔다. 3 3
29 사회복지실천방법
세미나 I
Seminar on Social Work Practice Methods I 최근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가 사회복지실천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게 될지 검토한다. 또한 사회복지사들이 실천과정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경험하게 되는 윤리적 딜레마와 실천경험의 본질을 검토한다. 3 3
30 사회복지조직관리 및 지도자론 Social Welfare Organization Management and Leadership 사회복지조직의 형성 원리에 관한 이해를 돕도록 개념과 이론들을 정리하고 사회복지시설/기관의 조직구성과 모형, 영역, 관련이론과 전개과정을 알아본다. 사회복지조직의 산물인 복지조직 관리상의 현실과 특성들을 논의하고 관련 이데올로기들을 정리한다. 사회복지조직의 지도자론을 정립해 보고 지도자 자질, 능력, 활동 및 양성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실제 한국 사회복지 지도자와 지도력의 빈곤에 관한 문제들을 발전적으로 토론한다. 3 3
31 의료사회사업 세미나 Seminar on Medical Social Work 의료사회복지사가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질병이나 장애로 인해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데 필요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데 목적을 둔다. 따라서 의료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기초이론과 주요 질환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심리사회적 사정과 개입방법을 학습하고, 사례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한다. 아울러 급변하는 의료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의료사회복지실천의 나아갈 방향을 전망하고 대응전략을 탐색한다. 3 3
32 사회복지시설운영론 Management and Supervision in Social Welfare Agency 한국사회의 저출산 고령화 등의 사회문제에 따른 가족의 성원보호기능의 약화가 심화됨에 따라 시설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그것이 양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시대적 상황 하에서 사회복지시설은 운영의 주체가 되는 사회복지법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3 3
33 사회복지와 영성 Spirituality in Social Work 현재 사회복지학은 매우 현장중심적이고 실천지향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제도화되고 관료제화되어가는 사회복지현장의 현실 앞에서 인간이 중심인 사회복지 원래의 의미를 회복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인간을 연구하는 사회과학으로서 사회복지학의 학문적 위상을 세우기 위해 인간의 영성에 주목하여 사회복지와 영성의 관계를 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이론 및 방법론을 재정립하도록 한다. 3 3
34 다문화사회복지론 Theory of Multicultural Social Work 다문화되어 가는 한국사회의 미래는 다문화가정을 우리사회가 얼마나 수용할 수 있느냐에 관건이 주어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 하겠다. 다문화사회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다문화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담론 및 복지정책에 대해 성인지적 관점에서 논하도록 한다. 3 3
35 복지국가론 Theory of Welfare State 복지국가의 성립 배경을 이해하고, 현대 복지국가의 유형 및 성격을 규명한다. 또한 복지국가를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복지국가의 위기와 비판에 관한 논쟁점을 고찰하고, 향후한국의 국가복지 방향에 대해 성인지적인 관점에서 전망한다. 3 3
36 사회복지사상과 이론 Thought and Theory of Social Welfare 복지국가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사상적 배경과 이론을 검토하고 복지국가의 복지정책에 대한 성찰적 관점을 터득함으로써 우리 실정에 맞는 사회정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도록 한다. 3 3
37 사회복지실천방법론 Social Work Practice Methods 사회과학의 범주 안에서 사회복지조사연구의 특성, 측정방법 및 표본추출, 사회복지조사설계 방법론, 욕구 및 만족도 조사와 프로그램 평가, 자료처리와 분석방법, 연구보고서작성과 척도개발에 이르기까지 양적 연구방법의 중요 내용이다. 3 3
38 의료사회복지론 Medical Social Work 의료사회복지에 대한 전체적 이해를 위해서는 의료사회복지의 주제와 관련지어 이들을 두루 살펴보고, 기초부터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3 3
39 학위연구세미나 Dissertation Research Seminar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대학원생의 석·박사 학위논문을 작성하기 위한 교육내용을 다각적으로 제시하여, 다양한 사회복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논리적 사고 및 정확한 글쓰기 등에 훈련이 되는 교과목임 3 3
※ 위의 사항은 학과(전공) 사정상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주임교수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