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솔학과
- 학위수여명칭 : 영어학석사
- 주임교수명 : 강성관
- 학위수여 가능전공 : 테솔, 영어교육, 영어영문
- 주임교수연구실 : 062-670-2068
교육목표
영어교육 현장에서 요구되는 영어의 듣기, 읽기, 말하기를 균형 있게 지도할 수 있는 영어교사의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실제 공교육과 사교육 현장에서 요구되는 영어 실용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교사의 교수-학습 능력을 개발하고 향상시킨다. 또한 본 학과의 특성화된 리딩 프로그램인 단계별 리딩과 다독 리딩을 체계적으로 응용하고 개발하여 영어교사와 학습자가 영어를 효율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실제 영어 교육현장은 실용영어와 학습자의 실제적인 영어 능력을 고양할 수 있는 영어교사의 교수방법을 절실하게 요구하고 있다. 테솔은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영어교사와 학습자가 영어를 매개체로 초급에서 고급수준까지 교수•학습할 수 있는 커리큐럼을 개발하고 영어를 모국어에 가깝게 구사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과정이다. 전 세계적으로 테솔 자격증이나 학위 소지자는 영어권뿐만 아니라 비 영어권 영어 교육현장에서도 선호하 자격기준과 자격증 중의 하나이다. 비 영어권 출신의 영어교사도 질적인 테솔 자격증과 학위를 소지할 경우 국내는 물론 해외 영어권 뿐만 아니라 비 영어권 국가에서도 취업에 유리한 면이 많은 학위이다. 현재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영어강사와 한국인 영어 교육 종사자들 중 다수가 테솔 학위취득에 관심이 많고 영어 교육의 실용적인 교수•학습 면에서 학습자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교과과정
번호 | 교과과목명 | 교과목 개요 | 학점 | 시간 | |
---|---|---|---|---|---|
국문명 | 영문명 | ||||
1 | 언어학 | Linguistics | 언어에 대한 전반적 이론과 학습 방법을 고찰하고 언어의 기본적인 이론과 기존 문헌을 고찰한다. | 3 | 3 |
2 | 테솔연습 | Practice of TESOL | 테솔 교육에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영어학습 이론들을 이해하고 실제 영어교육 현장에서 요구되는 교수•학습방법들을 이해, 실험해본다. | 3 | 3 |
3 | 모국어습득 | First Language Acquisition | 모국어습득과 발달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과 가설을 이해하고 해당 문헌을 고찰한다. 모국어 발달과정이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이해한다. | 3 | 3 |
4 | 단계별리딩 | Graded Reading | 영어원문과 축약된 영어 읽기자료의 분석을 통해 단계별로 학습자의 읽기능력을 향상시킨다. 영어문장의 가독성 향상과 듣기, 말하기, 쓰기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교수•학습전략을 개발한다. | 3 | 3 |
5 | 다독영어리딩 | Extensive Reading | 다양한 수준과 다양한 장르의 리딩자료를 이용하여 영어구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전략을 개발하고 학습자의 모국어가 제2외국어 습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리딩 학습 전략을 연구한다. | 3 | 3 |
6 | 제2외국어습득론 |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영어를 제2외국어로 학습하는 수업전략을 설계하고 모국어습득과 외국어습득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실제 영어 교수•학습수업 전략에 응용해본다. | 3 | 3 |
7 | 테스팅분석 | Testing Analysis | 외국어 테스팅 형태와 종류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 한국 영어학습자 상황에 맞는 테스팅 전략을 세운다. 국내 영어시험 문항과 해외에서 시행되는 영어능력 시험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여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영어능력시험 형태를 개발한다. | 3 | 3 |
8 | 통사론 | Syntax | 통사론적 입장에서 문법의 개념과 응용을 이해하고 EFL 상황에서 학교문법의 교수학습내용을 분석하여 영어학습자에게 적합한 문법교육 커리큘럼을 작성해본다. | 3 | 3 |
9 | 음성학 | Phonetics | 음성언어의 분석을 통하여 영어와 학습자 언어의 차이점을 이해한다. 음성학적인 이론과 가설들을 토대로 영어 듣기와 발음 학습 전략을 설계할 수 있는 이론들을 학습한다. | 3 | 3 |
10 | 영어교육공학 | English Education Technology | 교육공학적 입장에서 영어 학습 전략을 이해하고 한국인 영어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수•학습설계 전략을 수립한다. | 3 | 3 |
11 | 소설과 읽기학습 | Novels and Reading Strategy | 영어 소설의 장점을 살려 소설의 다양성과 의미의 풍부함을 영어학습 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전략을 연구한다.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능력을 소설을 통하여 향상시킨다. | 3 | 3 |
12 | 언어와 문화 | Language and Culture | 외국어 학습에서 언어적 학습요인 외에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요인들을 분석한다. 실제 영어 교수•학습현장에서 영어 교수자와 학습자가 습득해야 할 문화적 요인과 언어와의 관계를 이해한다. | 3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