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디자인정책학과
- 학위수여명칭 : 디자인학석사
- 주임교수명 : 강철구
- 학위수여 가능전공 : 시각영상, 산업, 주얼리, 인테리어
- 주임교수연구실 : 062-670-2194
교육목표
- 1. 공공디자인분야 및 공공기관 디자인정책의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 2. 공간디자인, 공공시설물디자인, 공공매체디자인, 공공디자인정책에 관한 체계적인 이해를 교과과정을 통하여 습득한다.
- 3. 실무형 공공디자인 정책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현장전문가의 세미나와 특강 등을 통하여 현장 실무능력을 강화한다.
학과(전공)의 특성 및 전망
- 공공디자인정책은 공공장소나 공공시설, 공공매체, 공익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건축물이나 시설물을 설치하는 지역의 환경과 역사성 그리고 정체성이 반영되도록 합리적으로 제안하고 관리하는 분야이다.
- 현재 공공디자인은 지방정부에서 공공디자인 운영에 관한 조례를 정하고 있으며, 공익성을 갖는 각종 건축물이나 시설물 등에 대하여 설치에 앞서 전문위원회에 심의를 받은 후 조정하여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 공공디자인 교과목은 디자인분야의 주요과목으로 2000년 초부터 활성화되었고, 공공디자인정책 분야는 지방정부의 정규직 공무원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고 있다.
- 특히, 서울시 디자인총괄본부, 경기도 건축디자인과, 광주광역시 도시디자인과, 전라남도 경관디자인과 등과 같이 전국의 지방정부는 공공디자인에 관한 정책과 관리를 담당하는 부서를 두고 있으며, 매년 많은 디자이너를 채용하며 점차 확대되고 있어 향후 이 분야의 전망이 매우 밝다.
교과과정(1)
번호 | 교과과목명 | 교과목 개요 | 학점 | 시간 | |
---|---|---|---|---|---|
국문명 | 영문명 | ||||
1 | 공공디자인정책(1) | Public Design & Policy(1) | 공공디자인정책의 현황과 실태 문제에 관한 전공세미나(1) | 3 | 3 |
2 | 공공디자인정책(2) | Public Design & Policy(2) | 공공디자인정책의 현황과 실태 문제에 관한 전공세미나(2) | 3 | 3 |
3 | 공공디자인정책(3) | Public Design & Policy(3) | 공공디자인정책의 현황과 실태 문제에 관한 전공세미나(3) | 3 | 3 |
4 | 공공디자인정책(4) | Public Design & Policy(4) | 공공디자인정책의 현황과 실태 문제에 관한 전공세미나(4) | 3 | 3 |
5 | 제품기획특론 | Special Topics in Product Planning | 디자인프로세스와 제품기획, 트렌드 분석에 관한 전공 특론 | 3 | 3 |
6 | 인간공학특론 | Special Topics in Human Engineering | 사용자의 특성과 인터페이스에 관한 전공 특론 | 3 | 3 |
7 | 유니버셜디자인특론 | Special Topics in Universal Design | 보편적 디자인에 관한 적용과 실제에 관한 전공 특론 | 3 | 3 |
8 | 지역개발특론 | Special Topics in region development | 지역의 특성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방법 중심의 전공 특론 | 3 | 3 |
9 | 공공제품기획특론 | Special Topics in Public Product Planning | 공공제품의 특성과 문제 탐구 중심의 전공 특론 | 3 | 3 |
10 | 공공색채학특론 | Special Topics in Public Chromatics | 색채와 도시 경관에 관한 이론 연구 중심의 전공 특론 | 3 | 3 |
11 | 공공예술특론 | Theory of Special Public Art | 공공예술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전공 특론 | 3 | 3 |
12 | 공익광고와사회 | Public Advertising and Society | 공공매체의 역할과 광고의 중요성에 관한 전공 선택 | 3 | 3 |
13 | 공공환경디자인특론 | Special Topics in Public Environmental Design | 환경디자인과 공공정책의 상관성에 관한 전공 선택 | 3 | 3 |
14 | 영상디자인특론 | Special Topics in Animation Design | 영상디자인의 공익성에 관한 전공 선택 | 3 | 3 |
15 | 영상산업론 | Theory of Visual Media Industry | 공공영상의 산업적 측면에서의 역할에 관한 전공 선택 | 3 | 3 |
16 | 금속공예특론 | Special Topics in Metal Craft Design | 공공예술분야에 금속공예의 가능성에 관한 전공 선택 | 3 | 3 |
17 | 귀금속디자인특론 | Special Topics in metal Design | 공공예술분야에 귀금속디자인의 가능성에 관한 전공 선택 | 3 | 3 |
18 | 공공실내디자인특론 | Special Topics in Public Interior Design | 공공장소에 실내디자인의 조건과 구성요소에 관한 전공 선택 | 3 | 3 |
19 | 공공디자인상담 | Public Design & Consultation | 공공디자인전문회사 운영과 상담에 관한 전공 선택 | 3 | 3 |
20 | 공공디자인교육 | Public Design & Education | 공공디자인 교과목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에 관한 전공 선택 | 3 | 3 |
21 | 공공경관디자인 | Special Topics in Urban Scene Design | 도시경관과 디자인 전략의 타당성에 관한 전공 선택 | 3 | 3 |
22 | 도시공원과 디자인 | Special Topics in Urban Park & Design | 도시공원과 공공정책의 연계성에 관한 전공 선택 | 3 | 3 |
23 | 공원시설물디자인 | Park Facility Design | 도시공원에 설치되는 시설물디자인에 관한 전공 선택 | 3 | 3 |
24 | 테마파크와 디자인 | Theme Park & Design | 테마파크의 특성과 디자인에 관한 전공 선택 | 3 | 3 |
25 | 공공디자인과 창업 | Public Design & Establishment | 디자인전문회사 창업과 운영에 관한 전공 선택 | 3 | 3 |
26 | 공공디자인정책 논문연구(1) | Thesis Research of Public Design & Policy(1) | 선정한 연구주제의 논문체계와 작성에 관한 내용의 전공 선택 | 3 | 3 |
27 | 공공디자인정책 논문연구(2) | Thesis Research of Public Design & Policy(2) | 선정한 연구주제의 논문체계와 작성에 관한 내용의 전공 선택 | 3 | 3 |
28 | 디자인 현상학 | Design Phenomenology | 공공공간디자인의 현상학적 본질 탐구에 관한 전공 선택 | 3 | 3 |
29 | 현대 공예론 | Jewelry Design | 현대공예의 이론적 탐구에 관한 전공선택 | 3 | 3 |
※ 위의 사항은 학과(전공) 사정상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주임교수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